메뉴 건너뛰기

창원특례시 성평등 정책 이행을 통해 모두가 잘사는 창원특례시를 만들어야 한다!

 

 

 

지난 3월 9일 대통령선거를 거치면서 여성혐오와 성차별이 선거 과정에서 어떻게 정치적으로 선동되는지를 지켜봐야했다. 그렇기에 2022년 6.1 전국동시지방선거는 그 누구도 차별하거나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한 선거, 성평등 정책이 실현되는 선거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창원특례시는 인구 103만으로 지난 2022년 1월 13일 특례시로 출범하였다. 또한 여성친화도시, 아동친화도시, 장애인친화도시 등 ‘시민 모두가 행복하고 안전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기조로 출범한 창원특례시이다. 이번 6.1 지방선거에서 새로이 당선되는 창원특례시 시장은 성평등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성차별적 사회구조를 바꾸고 성인지 관점의 성평등 정책을 마련하여 강력한 정책적 의지로 추진해나가야 할 책무가 크다 하겠다.

 

 

 

 

 

경남여성단체연합 및 7개 창원지역 여성시민사회단체는 2022년 6.1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창원특례시장 후보들에게 ‘창원특례시 성평등 정책 질의서를 제안하고, 당선 후 실질적인 정책실행을 약속하는 공약수용여부 답변서를 받았다. 제안한 성평등 정책은 ‘성주류화 정책 기반조성, 여성의 대표성, 함께 키우는 사회, 돌봄 지원을 위한 정책, 성폭력 없는 안전한 창원시 구축, 일자리 교육과 훈련 및 질 좋은 여성일자리 발굴과 지원, 여성친화도시의 실효성 강화, 사람 중심의 성평등한 도시재생사업, 무장애 환경 조성된 특례시, 여성청년정책’ 9개 분야이다.

 

 

 

 

창원특례시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국민의힘 홍남표 각 후보에게 지난 5월 19일 ‘창원특례시 성평등 정책 질의서’를 보내고 답변을 요청하였다. 이에 5월 22일 허성무 후보의 답변서를 회신받아 분석하였다.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성의있는 답변을 통해 창원특례시 성주류화를 위한 각 영역의 정책 의제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과 이행 의지를 보여주었다. 답변서에서 9개 영역 36개 세부과제 중 찬성 34개, 검토 2개 (① 성주류화 정책 기반조성-창원시 정책 전반에 성주류화 정책을 총괄, 조정 각 부서별 성평등 정책담당관 신설, ② 무장애 환경 조성된 특례시 - 권리중심형 일자리 추진 및 여성장애인 고용 50% 의무 할당제 도입)로 회신되었으며 이는 성주류화를 위한 성평등 정책 질의에 성실히 임했고 우수하다고 평가하겠다.

 

 

 

 

홍남표 국민의힘 후보에게는 5월 23일 (월)까지 연락을 취하여 창원특례시 성평등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묻고자 하였으나 답변서 회신도 없었으며 답변을 하지 않는 것의 제대로 된 연락조차 없었다. 창원특례시 여성유권자의 성평등 정책에 대한 요구에 관심이 있었는지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 정치권의 무관심이 지방정부의 성주류화를 더디게 하는 가장 큰 이유일진데 계속 되는 답변 요구가 무관심에 묻혀버린 상황은 창원특례시 여성유권자들의 기대를 저버린 것이라 하겠다.

 

 

 

 

성평등은 말로만 하는 약속이 아니며 실천이 수반되어야 실현되는 현실적 가치이다.

경남여성단체연합 및 7개 창원특례시 지역 내 여성시민사회단체는 모두가 잘 살고, 차별과 폭력 없는 성평등한 창원특례시를 실현하기 위해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성평등 정책 이행의 의지를 가지고 앞으로 실행해 나가는 창원특례시 시장을 원한다.

이번 6.1 지방선거에서는 창원특례시 여성유권자의 정책 요구와 이행의 약속을 지켜낼 수 있는 후보에게 투표할 것이며, 이후 정책으로 실현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젠더거버넌스를 통해 성평등한 창원특례시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 평가하는 일을 계속해나갈 것이다.

  

 

 

 

2022. 5. 24

 

 

 

 

창원여성의전화, 창원여성살림공동체, 전국여성노조 경남지부, 진해여성의전화, 디딤장애인성인권지원센터, 마산창원여성노동자회, 경남여성회, 경남여성장애인연대, 경남여성단체연합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8 인공지능 도입보다 경찰 인식 개선이 먼저다 – 경찰청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에 부쳐 - new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7 0
247 ‘모두의 대통령’을 약속한 정부의 임명식 - ‘모두’를 담지 못한 국민 대표단 기획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246 [화요논평]여성폭력 근절에 앞장서는 여성가족부로 응답하라 -여성폭력 범죄 이후 피해자들이 겪는 현실을 마주하며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0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0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2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4 [공동 성명] 다큐 ‘첫 변론’ 상영금지, 배상, 간접강제 1심 판결 당연하다 - 그 사망은 성폭력 피해자 탓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3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할 수사기관은 어디에 서 있는가 – 고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사건 혐의 인정 회피한 경찰 규탄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1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제21대 대통령,  여성과 소수자가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 국정운영으로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05 2
230 여성인권운동단체 활동 왜곡, 정치 도구화 하려는 조직적 행태를 고발한다! file admin 2025.06.04 5
229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멸시, 비하가 웃음거리인가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30 96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