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원특례시 성평등 정책 이행을 통해 모두가 잘사는 창원특례시를 만들어야 한다!

 

 

 

지난 3월 9일 대통령선거를 거치면서 여성혐오와 성차별이 선거 과정에서 어떻게 정치적으로 선동되는지를 지켜봐야했다. 그렇기에 2022년 6.1 전국동시지방선거는 그 누구도 차별하거나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한 선거, 성평등 정책이 실현되는 선거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창원특례시는 인구 103만으로 지난 2022년 1월 13일 특례시로 출범하였다. 또한 여성친화도시, 아동친화도시, 장애인친화도시 등 ‘시민 모두가 행복하고 안전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기조로 출범한 창원특례시이다. 이번 6.1 지방선거에서 새로이 당선되는 창원특례시 시장은 성평등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성차별적 사회구조를 바꾸고 성인지 관점의 성평등 정책을 마련하여 강력한 정책적 의지로 추진해나가야 할 책무가 크다 하겠다.

 

 

 

 

 

경남여성단체연합 및 7개 창원지역 여성시민사회단체는 2022년 6.1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창원특례시장 후보들에게 ‘창원특례시 성평등 정책 질의서를 제안하고, 당선 후 실질적인 정책실행을 약속하는 공약수용여부 답변서를 받았다. 제안한 성평등 정책은 ‘성주류화 정책 기반조성, 여성의 대표성, 함께 키우는 사회, 돌봄 지원을 위한 정책, 성폭력 없는 안전한 창원시 구축, 일자리 교육과 훈련 및 질 좋은 여성일자리 발굴과 지원, 여성친화도시의 실효성 강화, 사람 중심의 성평등한 도시재생사업, 무장애 환경 조성된 특례시, 여성청년정책’ 9개 분야이다.

 

 

 

 

창원특례시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국민의힘 홍남표 각 후보에게 지난 5월 19일 ‘창원특례시 성평등 정책 질의서’를 보내고 답변을 요청하였다. 이에 5월 22일 허성무 후보의 답변서를 회신받아 분석하였다.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성의있는 답변을 통해 창원특례시 성주류화를 위한 각 영역의 정책 의제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과 이행 의지를 보여주었다. 답변서에서 9개 영역 36개 세부과제 중 찬성 34개, 검토 2개 (① 성주류화 정책 기반조성-창원시 정책 전반에 성주류화 정책을 총괄, 조정 각 부서별 성평등 정책담당관 신설, ② 무장애 환경 조성된 특례시 - 권리중심형 일자리 추진 및 여성장애인 고용 50% 의무 할당제 도입)로 회신되었으며 이는 성주류화를 위한 성평등 정책 질의에 성실히 임했고 우수하다고 평가하겠다.

 

 

 

 

홍남표 국민의힘 후보에게는 5월 23일 (월)까지 연락을 취하여 창원특례시 성평등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묻고자 하였으나 답변서 회신도 없었으며 답변을 하지 않는 것의 제대로 된 연락조차 없었다. 창원특례시 여성유권자의 성평등 정책에 대한 요구에 관심이 있었는지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 정치권의 무관심이 지방정부의 성주류화를 더디게 하는 가장 큰 이유일진데 계속 되는 답변 요구가 무관심에 묻혀버린 상황은 창원특례시 여성유권자들의 기대를 저버린 것이라 하겠다.

 

 

 

 

성평등은 말로만 하는 약속이 아니며 실천이 수반되어야 실현되는 현실적 가치이다.

경남여성단체연합 및 7개 창원특례시 지역 내 여성시민사회단체는 모두가 잘 살고, 차별과 폭력 없는 성평등한 창원특례시를 실현하기 위해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성평등 정책 이행의 의지를 가지고 앞으로 실행해 나가는 창원특례시 시장을 원한다.

이번 6.1 지방선거에서는 창원특례시 여성유권자의 정책 요구와 이행의 약속을 지켜낼 수 있는 후보에게 투표할 것이며, 이후 정책으로 실현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젠더거버넌스를 통해 성평등한 창원특례시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 평가하는 일을 계속해나갈 것이다.

  

 

 

 

2022. 5. 24

 

 

 

 

창원여성의전화, 창원여성살림공동체, 전국여성노조 경남지부, 진해여성의전화, 디딤장애인성인권지원센터, 마산창원여성노동자회, 경남여성회, 경남여성장애인연대, 경남여성단체연합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성명 및 논평 [민주주의 구하는 페미- 퀴어- 네트워크 입장문] 소수라 불리던 다수가 민주주의를 이끌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4 3
221 헌정질서 파괴, 내란수괴 대통령 윤석열 파면! 성평등 사회대개혁으로 대한민국 성평등 민주주의 실현하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4 4
220 장제원 전 의원에 의한 성폭력 사건 피해자의 용기에 연대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1 6
219 [화요논평] 세계여성의날 석방된 내란수괴 윤석열, 그러나 우리는 끝까지 싸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13 6
218 [공동논평] 정혜경 국회의원 형법 일부개정안, 22대 국회 첫 번째 ‘강간죄 개정’ 발의를 환영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6 3
217 [공동성명] 이화여대 폭력, 묵과할 수 없는 반민주적·반인권적 여성혐오 폭력이다. 폭력 선동한 유튜버와 핵심 관련자에 대해 즉각 수사하고 강력히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4 5
216 (성명 및 논평)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입장] 더 이상 차별과 혐오가 설 곳은 없다 이화여대 내 내란동조세력의 난입∙폭동을 규탄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4 4
215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의 ‘비동의강간죄’ 추진 여성가족부 직원 부당감찰 규탄 성명- 강간죄 개정 거부의 시대는 끝났다. 비동의강간죄 도입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4
214 [윤석열 파면 촉구 여성단체 기자회견 발언문] 우리는 이미  윤석열을 파면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5
213 [화요논평] 양당 교섭단체 연설에서 빠진 ‘성평등’과 ‘다양성’. 정치권은 여성들이 일상 속 ‘폭동’에 더 이상 침묵하지 마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3
212 [공동논평] 비동의강간죄 도입 촉구 국민동의청원 2건 성사,  국회는 더 이상 형법상 강간죄 개정 유예하지 말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04 5
211 [성명] 국가인권위원회가 수호해야 할 것은 ‘내란 행위’가 아닌 ‘민주주의’이다 - 성평등 퇴행에서 시작된 민주주의 파괴를 당장 멈춰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1.16 6
210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입장문] 주권자의 힘으로 내란수괴 윤석열을 체포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1.15 7
209 [화요논평] “최말자는 무죄다” - 60년 만의 재심 개시,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인정을 위한 정의의 길로 함께 가자 진해여성의전화 2024.12.26 14
208 무죄로의 역주행, 성폭력판결 이대로 안전한가? 진해여성의전화 2024.12.23 62
207 윤석열 대국민담화에 대한 긴급논평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12 7
206 세계인권선언기념일 기념 한국여성의전화 성명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11 7
205 헌법·법률 위반 내란죄 범죄자 윤석열을 탄핵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12.06 17
204 (긴급성명)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 당장 비상계엄을 해제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04 10
203 (성명서) 동덕여대 남여공학 전환 반대 시위에 관한 입장문 진해여성의전화 2024.11.28 24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