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mg.png

 

지난 12월 29일, 한 대형 매장에서 10대 여성을 남자 화장실로 끌고 가 강간한 남성이 대전지법 제12형사부(재판장 유석철)에서 징역 3년·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다. 해당 가해자는 강간 직전 다른 10대 여성 2명에게도 추행을 저질렀다. 가해자는 1심 공판 과정에서 혐의를 모두 인정하고 75건의 반성문을 제출하였고, 이에 재판부는 선고와 함께 “피고인이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고, 형사처벌 받은 전력이 없다며 피해자와 합의해 선처를 탄원하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판시했다.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따르면 폭행 또는 협박으로 아동·청소년을 강간한 사람은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도록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반성’과 ‘합의’라는 감경요소만을 고려하여 집행유예라는 가당치도 않은 솜방망이 처벌을 내린 것이다.

 

대법원 산하의 독립기관인 양형위원회에서는 성범죄 양형기준 중 ‘처벌 불원(피해자와의 합의)’, ‘진지한 반성’, ‘형사처벌 전력 없음’, ‘상당 금액 공탁’ 등을 감경요소로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성폭력 사건에서 이러한 감경요소는 올바른 판결의 기준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닌, 가해자가 제대로 된 처벌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지 오래다. 그중에서도 ‘합의’와 ‘반성’을 감경요소로 보는 것은 여성폭력 사건의 특수성을 일절 고려하지 않은 것이며, 2019년 대법원 양형위원회 연간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기조 아래서 성범죄의 41.8%가 법정형보다 가벼운 형량을 선고받고 있다.

 

피해자와의 ‘합의’를 감경요소로 삼아 가해자 처벌 여부를 피해자의 의사에 맡긴다는 것은, 피해자의 용서만 있다면 국가가 처벌하지 않아도 되는 범죄로 본다는 것과 같다. 이는 여성폭력 범죄가 ‘합의하면 되는 일’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고 여성폭력을 축소하는 결과를 낳는다. 특히 애인, 남편 등 친밀한 관계 내에서 일어난 여성폭력 사건의 경우 피해자가 가해자 처벌 의사를 선뜻 밝히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지 않은 채 피해자의 가해자 처벌 의사를 기계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가해자의 ‘진지한 반성’을 반성문 제출, 공탁금 기탁, 여성단체 기부 등으로 무분별하게 해석하는 것 또한 문제이다. 박성준 의원이 대법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선고된 성범죄 사건 중 ‘진지한 반성’이 양형기준으로 적용된 사례는 7,236명으로, 전체의 63.8%에 달했다. ‘진지한 반성’을 증명하기 위해 합의를 거부하는 피해자의 의사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법원에 공탁금을 기탁하거나 여성단체에 기부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관련해서 본회에서 진행한 “여성폭력 사건에서 ‘기부’를 양형의 감경요소로 반영하지 말라!” 촉구 서명에는 단시간에 5,900여 건의 서명이 모였으며 많은 시민들이 이러한 문제에 같이 분노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들의 인식과는 달리, 사법부는 아직도 가해자의 시각에서 여성폭력 사건을 보고 있으며, 무분별하게 감경요소를 작용하여 여성폭력 범죄에 법정형보다 낮은 형량을 내리고 있다. 더 이상의 감형은 용납할 수 없다. 사법부는 가해자의 ‘반성’과 ‘합의’를 감경요소로 반영하지 말라. 사법부는 양형기준을 정비하고 판사들의 인식을 제고하여, 여성폭력 범죄에서 가해자에 대한 제대로 된 처벌, 피해자의 피해 회복에 기여하는 정의로운 판결을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

 

* 관련 기사 : https://news.v.daum.net/v/20220104053944296

* ‘여성폭력 사건에서 ‘기부’를 양형의 감경요소로 반영하지 말라!’ 서명 바로가기 : https://forms.gle/6dDjxtcFx5NmmdXM8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화요일 ‘화요논평’ 2022010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0 민원을 빌미로 혐오를 확산하고 평등의 가치를 훼손하는 진주시를 규탄한다! - 진주여성민우회 ‘2025 모두를 위한 성평등’ 연속강의에 대한 보조금 취소 행정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04 8
249 [논평] 차별금지법에 대한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입장을 환영하며, 이재명 정부와 22대 국회가 차별금지법 추진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04 8
248 인공지능 도입보다 경찰 인식 개선이 먼저다 – 경찰청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에 부쳐 -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7 8
247 ‘모두의 대통령’을 약속한 정부의 임명식 - ‘모두’를 담지 못한 국민 대표단 기획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8
246 [화요논평]여성폭력 근절에 앞장서는 여성가족부로 응답하라 -여성폭력 범죄 이후 피해자들이 겪는 현실을 마주하며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8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0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8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8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8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8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8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8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8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8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10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8
234 [공동 성명] 다큐 ‘첫 변론’ 상영금지, 배상, 간접강제 1심 판결 당연하다 - 그 사망은 성폭력 피해자 탓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8
233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할 수사기관은 어디에 서 있는가 – 고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사건 혐의 인정 회피한 경찰 규탄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13
23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11
231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제21대 대통령,  여성과 소수자가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 국정운영으로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05 1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