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논평 화요논평입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18.06.19 13:48 조회 수 : 249

[국가 인구등록시스템은 가정폭력 가해자의 추적으로부터 안전할까요?]

 

가정폭력으로부터 피신한 피해자의 주소지 등의 정보 노출방지를 위한 주민등록 열람제한제도와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에 대해 아시나요?

 

2009년 주민등록법 개정을 통해 주민등록 열람 및 등초본 교부 제한 제도가 시행되었고 20176월 주민등록번호 변경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가해자에게 노출되어 폭력이 재발되는 일이 계속되면서 피해자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도였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시스템의 허점으로 인해 신상정보가 가해자에게 고스란히 노출되어 또 다시 폭력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상황에 놓여있는 현실입니다.

 

# 폭력이 가해진 후 병원에 가더라도 남편이 늘 동행했고, 남편과 친한 의사에게 계단에서 넘어졌다라고 이야기 할 수밖에 없었다. 더 폭력이 심해질까 봐 경찰에 신고도 못했던 A씨는 겨우 도망쳐 나와 상담을 받았다. 남편이 찾을 수 없도록 주민등록 열람제한을 신청하려 했으나 상담사실확인서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말을 들었다.

 

# B씨는 주민등록열람제한 신청을 하고 싶지만 남편과 함께 살았던 거주지의 주민센터에 가서 신청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밤새 잠을 못자고 고민하고 있다. 너무 두려웠던 그 장소에 다시 가는 것은 공포에 가까운 일이기 때문이다.

 

# 남편의 폭력을 피해 아이들과 쉼터로 피신했다가 독립한 C씨는 주민등록 열람제한을 신청했지만 가해남편이 친권을 내세워 아이들을 자신의 주소지로 전입신고하여 사는 집의 주소가 그대로 노출되어 다시 집으로 끌려 들어갔다.

 

# D씨는 비혼으로 아버지의 폭력을 피해 쉼터에서 생활했다. 퇴소 후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바꿔서 새로운 생활을 하고 싶지만 아버지가 가족관계증명서를 뗀다면 D씨의 새로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가 다 나타나게 되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러한 피해사례들에서 드러내는 주민등록번호 열람제한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2010년 국민권익위원회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부에 권고한 바 있습니다.

입증구비서류의 종류를 확대하고, 피해자가 전국 시구 어디서나 주민등록 열람제한의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피해자와 같이 살지 않는 동반자녀에 대해서도 주민등록 열람제한을 할 수 있게 하고 주민등록법상 가족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가해자까지 제한 대상에 포함하며 친권자인 가해자에 의한 전입신고를 차단해야 한다.

 

그로부터 8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제자리걸음입니다. 여성폭력 피해자의 신변보호는 국가의 책무임에도 불구하고 법적근거가 없고 예산확보가 어렵다는 말만 되풀이하면서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언제든지 다시 폭력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방치하고 있습니다. 가정폭력 상황에서 탈출한 피해자들의 정보유출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 마련을 위해 주민등록법과 가족관계등록법의 개정이 시급합니다.

 

* 관련기사 : http://www.fnnews.com/news/201804181048233550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180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0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0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2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4 [공동 성명] 다큐 ‘첫 변론’ 상영금지, 배상, 간접강제 1심 판결 당연하다 - 그 사망은 성폭력 피해자 탓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3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할 수사기관은 어디에 서 있는가 – 고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사건 혐의 인정 회피한 경찰 규탄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1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제21대 대통령,  여성과 소수자가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 국정운영으로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05 1
230 여성인권운동단체 활동 왜곡, 정치 도구화 하려는 조직적 행태를 고발한다! file admin 2025.06.04 5
229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멸시, 비하가 웃음거리인가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30 96
228 언어 성폭력 가해자 이준석은 대통령 후보 당장 사퇴하라! file admin 2025.05.29 97
227 신고해도 살해당했다.피해자는 도대체 무엇을 해야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가 file admin 2025.05.21 96
226 드디어 시작된 재심, 검찰은 피해자를 존중하는 자세로 재판에 임하라 file admin 2025.05.16 96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