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4일, 강미정 전 대변인은 기자회견을 열고 조국혁신당의 성폭력 사건 해결에 대한 문제 제기 후 탈당했다. 이에 대해 조국혁신당은 '팩트체크'라는 이름으로 즉각 반박에 나섰지만, 그 내용은 오히려 당의 무책임과 무능력을 여실히 드러낸 것에 불과했다.
조국혁신당은 "피해자의 요구를 모두 수용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들이 내세운 조치들은 피해자의 요구가 있어야만 이루어진, 지극히 기본적인 절차에 불과하다. 외부 인사 참여, 2차 피해 방지 조치, 피해자 지원 등은 어떤 조직이라도 마땅히 따라야 할 최소한의 상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해자가 직접 나서지 않았다면 이러한 조치조차 기대할 수 없었다는 사실은, 조국혁신당이 성폭력 사건 처리에 있어 기본조차 갖추지 못한 집단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사태는 단순히 성폭력 사건의 미흡한 처리만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이 얼마 전 주최한 강연에서는, 여당 교육연수원장이란 직함을 단 강연자가 이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을 향해 “개돼지”라 칭했음에도, 이를 제지하거나 문제 삼는 이가 없었다. 피해자들이 실질적 문제해결을 기대했던 조국 전 대표는 입장을 묻는 질문에 즉답을 회피하다 본인과 측근의 입을 빌어 “비당원이었다”, “사건 접수 당시 수감 중이었다”는 말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이 단편적인 장면들은 조국혁신당이 얼마나 조직적으로 피해자를 고립시켰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다.
오늘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이 뒤늦은 사과를 했지만, “절차대로 했다”는 변명, “앞으로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추상적인 약속만을 반복했다. 책임 있는 자세와 구체적인 재발 방지책은 찾아볼 수 없었다.
조국혁신당은 성폭력 사건을 ‘리스크’로 관리하려는 태도를 멈춰라. 아니, ‘리스크’로 관리하려면 제대로 해라. 그 시작은 우리 사회가 피해자들의 고통을 바탕으로 쌓아온 성폭력 사건처리 매뉴얼을 충실히 따르는 것이다.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가 진정으로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즉각 마련하라. 상식을 몰아낸 자리에는 조국도, 혁신도 있을 수 없다.
2025년 9월 5일
한국여성의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