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논평]

 

‘빛의 혁명’을 만든 여성 주권자들, 이제는 성평등 민주주의다.
- 대선 후보는 여성 주권자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

 

 

오늘, 5월 12일부터 제21대 대통령선거를 향한 본격적인 대장정이 시작되었다. 이번 대선은 헌법과 민주주의를 훼손한 내란수괴 대통령 윤석열 탄핵 이후 치러지는 선거인만큼 새 정부에 주어진 시대적 사명은 명확하다. 구조적 성차별을 부정하며 여성가족부 폐지를 추진한 윤석열 정권 2년 반 동안 여성과 소수자의 권리와 삶은 무너졌다. 광장의 목소리는 윤석열 정권으로 인해 퇴보·지연·삭제된 여성·성평등 정책을 복원·강화하여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걷어내고 모두의 평등을 위한 새로운 민주공화국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는 곧 무너진 헌정 질서를 바로 세우고, 성평등 민주주의라는 국가비전을 다시 수립하는 일이다.

오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광화문에서 첫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하며, ‘빛의 혁명’이 시작된 곳에서 출정식을 여는 의미를 가슴에 깊이 새기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빛의 혁명’을 진정 이끈 이들이 누구인지 기억하고 있는가.
2024년 겨울, 12·3 위헌적 비상계엄에 맞서 가장 많이 광장에 모였던 이들은 여성 시민들이었다. 분노와 절망을 넘어 그 광장을  ‘평등’, ‘돌봄과 연대’로 가득 채우며 ‘빛의 혁명’을 이끌어낸 여성 주권자들은 민주주의의 회복을 위한 빛의 물결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성평등 민주주의에 대한 염원이 있었다. 

더불어민주당이 선관위에 제출한 10대 정책공약 어디에도 ‘성평등’, ‘젠더’라는 단어는 등장하지 않는다. ‘회복·성장·행복’ 이라는 3대 비전을 내세우며 국민통합을 이야기하지만 구조적 성차별 해소를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시스템 강화, 젠더 폭력 근절,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문제 해결, 돌봄의 공공성 확대 등 그 어떤 여성·젠더 이슈도 주요 정책으로 자리 잡지 못했다. 오히려 ‘젠더 통합’이라는 이름 아래 성차별 현실은 지워지고, 여성주권자들의 삶은 여전히 주변으로 밀려나는 상황에 우리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중앙선대위가 발표한 10대 공약 어디에도 여성의 삶을 바꾸기 위한 정치적 의지,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국가비전을 찾아볼 수 없다. 특히 윤석열 정권이 무너뜨린 여성가족부에 대한 강화 방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은 매우 실망스럽다. 공약의 세부과제를 살펴보면 교제폭력 범죄 처벌 강화 및 피해자 보호명령제도 도입, 고용평등 임금공시제 도입 및 공공기관 성별 평등지표 반영, 한부모가족 복지급여 확대, 돌봄·교육 및 일·가정 양립지원 강화 등이 있지만 이들 공약은 분절된 채 부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조적 성차별을 해소하거나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하겠다는 분명한 방향성과 결단은 담겨있지 않다. 이는 여성과 성평등 정책을 의도적으로 가시화하지 않으려는 회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지금 이 순간에도 여성들은 일터와 가정, 거리와 광장에서 차별과 폭력에 맞서 싸우고 있다. 성평등이 실현되지 않는 한 진정한 국민통합도, 지속가능한 민주주의도 실현할 수 없다. ‘빛의 혁명’을 만든 여성 주권자의 목소리는 지금도 광장과 일상 곳곳에서 성평등 사회와 성평등 민주주의 실현을 외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그리고 대선후보들은 ‘빛의 혁명’을 진정 기억하고자 한다면, 주권자들의 절반인 여성 시민들의 목소리부터 경청하라. 지금 필요한 것은 성평등 민주주의에 대한 국가 비전과 그에 걸맞는 공약과 실천을 제시하는 일이다.

성평등 없는 민주주의는 없다. 빛의 혁명을 가능하게 한 여성 주권자의 힘을 기억하라.
 

2025년 5월 12일(월)

한국여성단체연합 7개 지부 28개 회원단체 
경기여성단체연합, 경남여성단체연합,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 대전여성단체연합, 부산여성단체연합,
전북여성단체연합, 경남여성회, 기독여민회, 대구여성회, 대전여민회, 부산성폭력상담소, 새움터,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세종여성, 수원여성회, 울산여성회, 인천여성회, 제주여민회, 제주여성인권연대, 젠더교육플랫폼효재,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평화를만드는여성회, 포항여성회,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한국성인지예산네트워크,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노동자회,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연구소, 한국여성의전화, 한국여성장애인연합,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한국한부모연합, 함께하는주부모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8 인공지능 도입보다 경찰 인식 개선이 먼저다 – 경찰청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에 부쳐 - new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7 0
247 ‘모두의 대통령’을 약속한 정부의 임명식 - ‘모두’를 담지 못한 국민 대표단 기획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246 [화요논평]여성폭력 근절에 앞장서는 여성가족부로 응답하라 -여성폭력 범죄 이후 피해자들이 겪는 현실을 마주하며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0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0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2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4 [공동 성명] 다큐 ‘첫 변론’ 상영금지, 배상, 간접강제 1심 판결 당연하다 - 그 사망은 성폭력 피해자 탓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3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할 수사기관은 어디에 서 있는가 – 고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사건 혐의 인정 회피한 경찰 규탄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1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제21대 대통령,  여성과 소수자가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 국정운영으로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05 2
230 여성인권운동단체 활동 왜곡, 정치 도구화 하려는 조직적 행태를 고발한다! file admin 2025.06.04 5
229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멸시, 비하가 웃음거리인가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30 96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