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71e954d9e8749.png

 

신고했음에도 살해당한 여성들의 연이은 죽음에 분노하며


지난 8일, 경북 구미에서 한 30대 남성이 전 여자 친구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됐다. 보도에 따르면 피해자는 가해자를 스토킹으로 세 차례나 신고했다. 두 번째 신고 이후 경찰은 법률에도 명시되지 않은 상담 및 교정 프로그램을 가해자에게 이수시켰고, 상담 기관의 “재범 위험성이 낮다”는 평가만으로 이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상담 종료 후 2개월 만에 가해자는 피해자의 직장까지 찾아갔고, 세 번째 신고가 있은 지 엿새 만에, 100m 이내 접근금지 및 통신 금지 결정이 내려진 지 이틀 만에, 피해자는 가해자에 의해 살해당했다. 이는 지난 9월, 부산 연제구에서 피해자가 여러 차례 신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세 번째 경찰 신고 이후 10일 만에 가해자에게 살해당한 사건이 발생한 지 불과 2개월 만이다.

스토킹 등 여성 폭력 문제에 대한 수사/사법기관의 부적절한 조치는 늘 지적되어 왔다. 용혜인 의원실에서 제공한 2023년 스토킹 112신고 처리 현황을 보면, 스토킹 신고 건수 중 ‘현장 종결’로 처리한 사건 건수는 전체의 42%에 이른다. 피해자 신변 보호를 위한 잠정조치 신청 건수는 신고 건수 대비 32%에 불과하며, 그나마 16%는 법원에 의해 기각되었다. 잠정조치 중 가장 실효성 있는 피해자 보호조치는 가해자를 유치장에 유치하는 잠정조치 4호이다. 그러나 2023년 기준, 잠정조치 4호는 스토킹 신고 건수 중 3.7%만 신청되었고, 이마저도 법원에 의해 승인되는 비율은 절반에 불과하였다. 이처럼 수사/사법기관의 적절한 조치를 받지 못한 피해자들은 생명까지 잃는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된다. 2023년 한국여성의전화가 언론보도를 통해 집계한 '분노의 게이지 -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 및 일면식 없는 남성에 의한 여성살해 분석' 결과, 피해자(주변인 포함) 568명 중 96명(16.9%)은 경찰에 신고했음에도 살해당했다.

올해 5월, 연이은 스토킹, 교제 폭력 사건과 관련하여 법무부 장관은 “스토킹이 강력범죄로 이어지지 않고, 피해자들이 조속히 고통에서 벗어나 안 전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도의 운영과 정비에 최선을 다하겠다.”, “새로운 유형의 스토킹 행위나 그에 대응하기 위한 잠정조치 등 스토킹·강력범죄 대응체계의 개선·보완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여성가족부 차관은 "법무부·경찰청 등 관련 부처 및 전문가와 현장이 함께 참여하는 여성폭력방지위원회 제2전문위원회를 조속히 개최해 여러 의견을 듣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발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무엇이 달라졌는가. 지난 5월 이후, 법무부 장관은 제도의 운영과 정비에 어떤 최선을 다했는가. 장관 없는 여성가족부는 어떤 개선 사항을 발굴하고 추진했는가. 버젓이 있는 법과 제도도 활용하지 않는 마당에, 도대체 언제까지 제도의 문제를 탓할 것인가? 피해자들 앞에 사죄하라. 그것부터 하라. 신고했으나 목숨을 잃는 사건은 더 이상 일어나서는 안 된다. 있는 법과 제도를 최대로, 최고로 적용하라. 보완은 그 후에 해도 된다.

* 관련기사 : https://url.kr/vvv9eb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4111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3 [화요논평] 양당 교섭단체 연설에서 빠진 ‘성평등’과 ‘다양성’. 정치권은 여성들이 일상 속 ‘폭동’에 더 이상 침묵하지 마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101
212 [공동논평] 비동의강간죄 도입 촉구 국민동의청원 2건 성사,  국회는 더 이상 형법상 강간죄 개정 유예하지 말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04 103
211 [성명] 국가인권위원회가 수호해야 할 것은 ‘내란 행위’가 아닌 ‘민주주의’이다 - 성평등 퇴행에서 시작된 민주주의 파괴를 당장 멈춰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1.16 106
210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입장문] 주권자의 힘으로 내란수괴 윤석열을 체포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1.15 98
209 [화요논평] “최말자는 무죄다” - 60년 만의 재심 개시,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인정을 위한 정의의 길로 함께 가자 진해여성의전화 2024.12.26 117
208 무죄로의 역주행, 성폭력판결 이대로 안전한가? 진해여성의전화 2024.12.23 187
207 윤석열 대국민담화에 대한 긴급논평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12 103
206 세계인권선언기념일 기념 한국여성의전화 성명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11 104
205 헌법·법률 위반 내란죄 범죄자 윤석열을 탄핵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12.06 118
204 (긴급성명)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 당장 비상계엄을 해제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04 105
203 (성명서) 동덕여대 남여공학 전환 반대 시위에 관한 입장문 진해여성의전화 2024.11.28 136
» [화요논평] 신고했음에도 살해당한 여성들의 연이은 죽음에 분노하며 진해여성의전화 2024.11.27 103
201 아동성추행 혐의를 받는 김해 지역구 경남도의원은 즉각 의원활동을 중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11.12 173
200 경남지역 텔레그램 불법합성물(딥페이크) 사태 실질적 대책촉구 연대 기자회견 진해여성의전화 2024.11.06 141
199 [화요논평]가정 내 폭력, 신고해도 죽음을 막지 못하는 국가 - 제대로 된 실태 파악, 가정폭력처벌법 전면개정, 인식개선 모두 시급하다 진해여성의전화 2024.11.06 105
198 [여성가족부 국정감사에 대한 논평] 제 기능을 상실한 여성가족부, 윤석열 대통령은 하루 빨리 장관을 임명하고 여성가족부를 강화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11.01 113
197 [공동성명] 허위영상물 소지죄에 “알면서” 문구 삭제한 수정안 통과 환영한다! 제대로 된 성폭력처벌법 개정, 국회는 책임을 다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09.30 106
196 경남지역 텔레그램 불법합성물 사태 대응 연대 기자회견 진해여성의전화 2024.09.03 142
195 (공동성명) 문제는 온라인 남성문화다. 우리가 뒤엎는다 진해여성의전화 2024.08.29 127
194 (화요논평) ‘딥페이크 성착취물’이 범죄인 줄 모르는 자 없다 - 대통령의 디지털 성범죄 대응 주문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4.08.28 115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