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성가족부 장관 공석 6개월째,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나

 

지난 24일, 더불어민주당 국회 여성가족위원들이 기자회견을 통해 여성가족부 장관 임명 및 운영 정상화를 촉구했다. 지난 2월, 윤석열 대통령이 전 장관의 사표를 수리한 직후 전국 902개 시민사회단체가 여성가족부 정상화를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개최한 지 5개월 만이다. 현 정부 출범 당시부터 이어진 여성가족부 폐지 시도가 정부조직법 개정안 무산 후 여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지원 예산 삭감, 장관 임명 유예 등으로 형태를 바꾸어 추진되는 동안, 수많은 시민들이 여성폭력 예방 및 피해자 지원 정책 등을 수립·집행하는 여성가족부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것에 우려를 표해왔다. 

 

최근 장관 공석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여성가족부는 “정상적으로 소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과연 그러한가. 최근 몇 달간 데이트폭력 사건 보도가 끊이지 않았으며,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된 사건만 하더라도 거제 데이트폭력 사망사건, ‘바리깡’ 데이트폭력 사건, 인천 스토킹 여성 살해사건, ‘강남 의대생 여자친구 살인사건’ 등 셀 수 없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건에서 ‘법·제도의 공백’, ‘처벌불원 의사’ 등의 핑계로 피해자가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했다. 바로 어제도 20대 남성이 자신에게 이별통보를 한 여자친구를 차에 감금한 채 음주운전을 했다가 체포되었으나,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를 이유로 석방되었다고 보도된 바 있다. 

 

참담한 현실에 대책을 마련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여성가족부는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데이트폭력 피해자의 쉼터 입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기존의 피해자 지원 지침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재발방지 및 가해자 처벌 관련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범부처 협업은 확인하기 어렵다. 

 

여성폭력 근절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도, 책임 있는 태도도 보여주지 않았던 정부의 직무유기는 이뿐만 아니다. 여자라는 이유로 생면부지의 사람에게 폭력 피해를 입고, ‘남성 혐오’적인 콘텐츠를 제작했다는 억지 논란에 여성들이 일자리를 잃는 사이 정부가 한 것은 모든 정책에서 ‘여성’을 지우고, 성평등·여성폭력 인식개선 사업을 위한 예산을 삭감하며 성평등 퇴보에 앞장선 것이었다.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지난 1일 행정안전부 장관은 정부조직 개편방안을 발표하면서 저출생, 고령사회 등을 관장하는 ‘인구전략기획부’를 신설하겠다고 밝혔을 뿐 여성가족부의 향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지난 4일에는 국민의힘 국회의원 11인이 여성가족부 폐지와 저출산, 인구정책, 청소년 및 가족 등의 사무를 관장하는 ‘저출산대응기획부’ 신설을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갈수록 퇴보하는 한국과 반대로 국제사회에서는 여성폭력을 사회적 범죄로 규정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일례로 최근 영국에서는 전국경찰서장협의회(NPCC)가 ‘여성과 소녀를 대상으로 한 범죄’의 실태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하며 지난 5년간 해당 범죄가 37% 가량 증가했으며, 이는 국가적 비상사태이므로 정부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여전히 여성폭력 실태 파악을 위한 통계조차 내지 않고, 심지어는 전담부처를 무력화시키려는 한국 정부는 느끼는 바가 없는가. 윤석열 대통령은 성평등 정책을 제대로 총괄할 수 있는 여성가족부 장관을 조속히 임명하라. 성평등을 보장하고 여성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총괄하는 성평등 전담부처를 강화하라. 

 

 

* 관련 기사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0306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9389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407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8 인공지능 도입보다 경찰 인식 개선이 먼저다 – 경찰청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에 부쳐 - new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7 0
247 ‘모두의 대통령’을 약속한 정부의 임명식 - ‘모두’를 담지 못한 국민 대표단 기획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246 [화요논평]여성폭력 근절에 앞장서는 여성가족부로 응답하라 -여성폭력 범죄 이후 피해자들이 겪는 현실을 마주하며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0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0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2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4 [공동 성명] 다큐 ‘첫 변론’ 상영금지, 배상, 간접강제 1심 판결 당연하다 - 그 사망은 성폭력 피해자 탓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3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할 수사기관은 어디에 서 있는가 – 고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사건 혐의 인정 회피한 경찰 규탄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1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제21대 대통령,  여성과 소수자가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 국정운영으로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05 2
230 여성인권운동단체 활동 왜곡, 정치 도구화 하려는 조직적 행태를 고발한다! file admin 2025.06.04 5
229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멸시, 비하가 웃음거리인가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30 96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