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블로그 표지_저용량.jpg

 

 기존 통계의 나열로 그친 ‘첫’ 여성폭력통계  잘못된 정책생산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지난 12월 29일, 여성가족부는 ‘2022년 여성폭력통계’를 여성가족부 누리집에 공표했다. 여성가족부의 설명대로 흩어져 있던 152종의 기존 여성 관련 데이터를 한데 모았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겠으나, 여성폭력 관련 통계 구축의 책무를 명시한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이 시행된 지 3년 만에 겨우 내놓은 결과치고는 초라한 수준이다. 여성가족부가 ‘최초’로 내놓은 382쪽이나 되는 여성폭력통계 보고서에는 그 어디에도 기존 통계가 지닌 한계와 문제점, 통계로 본 여성폭력 현실에 대한 분석,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 등은 제시되지 않았다.

 

 

정확한 현황 파악과 분석 없이 제대로 된 여성폭력 근절 정책 또한 존재할 수 없다. 최근 남성 가정폭력 피해자가 늘고 있다고 보도한 문화일보 기사는 이러한 문제를 고스란히 드러냈다. 기자는 2021년 「전국 가정폭력피해자 지원시설 운영실적」을 인용해 전체 상담의 32.1%(8만 4471건)가 남성의 상담인 점을 들어 ‘가정폭력 피해자 10명 중 3명 이상은 남성’이라고 단언하였다. 나아가 이를 여성가족부와 서울시가 추진 중인 남성 피해자를 위한 쉼터 지원정책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설명했다. 현행 가정폭력처벌법은 가해자를 처벌하기보다는 상담을 통해 가정으로 돌려보내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해자 상담’은 피해자를 지원하는 ‘가정폭력상담소’에서 진행된다. 앞서 언급한 운영실적은 피·가해자 상담 전체를 대상으로 산출되도록 짜여있기 때문에 기자가 인용한 전체 상담에는 가해자 상담도 포함된다. 결국, 기자의 해석은 이러한 운영실적을 오독한 결과에 불과하다. 정책의 지향, 이에 따른 통계 산출 방식과 같은 근본적 문제에 대한 해결이 없다면, 이러한 오독, 그리고 이에 기반한 또 다른 잘못된 정책생산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성별 권력관계를 삭제하고 여성폭력을 다루려는 시도, 남성 피해자가 과대표 되는 문제, 여성폭력의 분절화 등 기존 통계의 집적 방식의 문제는 이뿐만 아니다. 특히 상담 현장에서 만나는 많은 피해자는 가정폭력과 성폭력, 데이트폭력과 스토킹 등 여러 유형의 폭력을 중첩적으로 경험하고 어려움을 호소한다. 그러나 기존 여성가족부의 「전국 가정폭력·성폭력·성매매·성희롱 등 피해자 지원시설 운영실적」 통계는 폭력 유형을 1인당 하나만 집계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방식으로는 여성폭력의 피해 현황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렵다.

 

 

여성폭력통계를 구축하는 것은 성별을 기반으로 하는 여성폭력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경향성을 분석하여 여성폭력 근절과 예방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 여성폭력통계 구축이 명시된 이유는 기존 통계가 여성폭력의 현실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한다는 문제의식과 이에 대한 보완 및 개선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지적되었기 때문이다. 여성이 남편이나 애인 등 친밀한 관계의 남성에 의해 살해되는 사건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데도 관계에 따른 여성살해 건수조차 집계하지 않는 나라라는 오명을 언제까지 유지할 것인가. 단 한 명의 피해도 누락되지 않는 통계, 성별을 기반으로 한 범죄의 특성을 분명히 드러내는 통계, 여성폭력의 구조적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통계 구축이 필요하다.

 

 

* 관련 기사 :  https://www.hani.co.kr/arti/society/women/1074007.html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3010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성명 및 논평 [민주주의 구하는 페미- 퀴어- 네트워크 입장문] 소수라 불리던 다수가 민주주의를 이끌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4 3
221 헌정질서 파괴, 내란수괴 대통령 윤석열 파면! 성평등 사회대개혁으로 대한민국 성평등 민주주의 실현하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4 4
220 장제원 전 의원에 의한 성폭력 사건 피해자의 용기에 연대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1 6
219 [화요논평] 세계여성의날 석방된 내란수괴 윤석열, 그러나 우리는 끝까지 싸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13 6
218 [공동논평] 정혜경 국회의원 형법 일부개정안, 22대 국회 첫 번째 ‘강간죄 개정’ 발의를 환영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6 3
217 [공동성명] 이화여대 폭력, 묵과할 수 없는 반민주적·반인권적 여성혐오 폭력이다. 폭력 선동한 유튜버와 핵심 관련자에 대해 즉각 수사하고 강력히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4 5
216 (성명 및 논평)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입장] 더 이상 차별과 혐오가 설 곳은 없다 이화여대 내 내란동조세력의 난입∙폭동을 규탄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4 4
215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의 ‘비동의강간죄’ 추진 여성가족부 직원 부당감찰 규탄 성명- 강간죄 개정 거부의 시대는 끝났다. 비동의강간죄 도입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4
214 [윤석열 파면 촉구 여성단체 기자회견 발언문] 우리는 이미  윤석열을 파면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5
213 [화요논평] 양당 교섭단체 연설에서 빠진 ‘성평등’과 ‘다양성’. 정치권은 여성들이 일상 속 ‘폭동’에 더 이상 침묵하지 마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3
212 [공동논평] 비동의강간죄 도입 촉구 국민동의청원 2건 성사,  국회는 더 이상 형법상 강간죄 개정 유예하지 말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04 5
211 [성명] 국가인권위원회가 수호해야 할 것은 ‘내란 행위’가 아닌 ‘민주주의’이다 - 성평등 퇴행에서 시작된 민주주의 파괴를 당장 멈춰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1.16 6
210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입장문] 주권자의 힘으로 내란수괴 윤석열을 체포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1.15 7
209 [화요논평] “최말자는 무죄다” - 60년 만의 재심 개시,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인정을 위한 정의의 길로 함께 가자 진해여성의전화 2024.12.26 14
208 무죄로의 역주행, 성폭력판결 이대로 안전한가? 진해여성의전화 2024.12.23 62
207 윤석열 대국민담화에 대한 긴급논평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12 7
206 세계인권선언기념일 기념 한국여성의전화 성명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11 7
205 헌법·법률 위반 내란죄 범죄자 윤석열을 탄핵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12.06 17
204 (긴급성명)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 당장 비상계엄을 해제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04 10
203 (성명서) 동덕여대 남여공학 전환 반대 시위에 관한 입장문 진해여성의전화 2024.11.28 24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