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001.jpg

 

여성폭력을 여성폭력이라 부르지 않겠다는 정부, 모두를 위한 것이라고?

그 누구를 위한 것도 아니다. 명백한 본질 호도다.

 

지난 12월 1일은 한국 정부가 정한 여성폭력 추방주간의 마지막 날이었다. 이날 오후, 여성가족부는 2023년에서 2027년까지 적용될 제3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진행하였다. 공개된 기본계획에서는 성별에 기반한 폭력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보편적 인식이 존재하고, 폭력으로부터 안전 및 건강할 권리 보장이 필요하다면서도 '여성폭력' 용어는 삭제하고 '폭력'으로 일괄 변경하였다.

 

기본계획은 향후 5년간 새 정부의 성평등 정책의 근간이 된다. “좀 더 다양하고 포괄적인 모두를 위한 양성평등정책을 담았다”는 여성가족부의 변명은 새 정부가 성평등 정책에 얼마나 무지하고, 여성들의 안전과 생명에 관심이 없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여성폭력 문제는 여성의 안전을 넘어 생명과 직결된 문제이다. 성인 여성 3명 중 1명이 살면서 한 번 이상의 여성폭력 피해를 경험하고, 강력범죄 중 여성 피해율이 86%에 달하는 현실 속에서 다양하고 포괄적인 양성평등을 위해 기본계획 내에 ‘여성폭력’을 삭제하는 것이 여성가족부가 말하는 평등인 것인가. 여성폭력 피해의 실제가 버젓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여성을 지우는 의도는 무엇인가.

 

법에서도 규정하고 있는 ‘여성폭력’ 용어는 수십 년간 피해 여성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 낸 법적 용어이자 정책용어이다.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은 '여성폭력'을 '성별에 기반한 여성에 대한 폭력으로 신체적ㆍ정신적 안녕과 안전할 수 있는 권리 등을 침해하는 행위로서 관계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성희롱, 지속적 괴롭힘 행위와 그 밖에 친밀한 관계에 의한 폭력,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폭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모두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여성폭력’에서 ‘여성’의 이름을 지우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지우는 것과 마찬가지다.

 

‘공청회’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이 일정한 사항을 결정함에 있어서 ‘공개적으로’ 의견을 듣는 형식을 말한다. 그러나 현재 여성가족부 관련 사이트 어디에서도 이번 기본계획 공청회의 자료 확인은 할 수가 없다. 공청회 당일 배포된 자료집에는 모든 토론 자료가 빠져있고, 생중계되었던 공청회 영상은 확인되지 않는다. 여성가족부는 무엇을 그리 꼼꼼히도 감추고 싶은 것인가. 여성가족부는 여성의 이름을 지우는 행태를 즉각 멈추어라. 여성의 이름을 지운다고 성차별이라는 문제의 본질까지 외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성인권과 성평등 정책을 후퇴시키려는 현 여성가족부를 강력히 규탄한다.

 

*관련기사: https://bit.ly/3PciKKT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21206

 

한국여성의전화는 가정폭력·성폭력·스토킹 등 모든 여성폭력으로부터 여성인권을 보장하고 지원하며 성평등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습니다. 한국여성의전화는 회원의 회비와 후원금으로 운영되는 시민사회단체입니다. 정기후원으로 변화를 만드는 길에 함께해요!

■ 정책 개선 활동 후원하기: https://vo.la/f1yRE
■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2856
■ 논평 더 보기: http://hotline.or.kr/board_statemen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0 [의견서] 조배숙 의원 대표발의 형법 및 모자보건법 일부개정법률안에 관한 반대 의견서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11.21 0
259 [공동성명] 여성의 시간과 노동자의 생명을 연료삼는 배송 속도경쟁을 멈추자 진해여성의전화 2025.11.18 1
258 [공동성명] “동의 없는 성관계는 강간이다” 프랑스 형법 개정을 환영하며, 한국 형법 개정을 촉구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11.11 3
257 [공동성명] 6년의 방관과 태업, 이제는 끝내야 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11.11 2
256 [국정감사 이모저모] 2025년 10월 21일 경찰의 날, 스토킹처벌법 시행 4주년 진해여성의전화 2025.11.11 0
255 [민간고용평등상담실 확대 촉구 기자회견] 반토막 복원, 형식적 복원으로는 성평등 없다. 민간고용평등상담실 확대를 요구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11.11 0
254 이재명 대통령의 납작한 성인지 인식 경청, 공정, 신뢰를 토대로 청년 여성의 목소리를 경청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25 33
253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은 여성폭력 근절에서 시작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25 32
252 조국혁신당은 성폭력 사건을 ‘리스크’로 관리하려는 태도를 멈춰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25 38
251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인정을 환영한다. 61년 만의 재심 무죄 판결은 최말자와 우리 모두의 승리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25 31
250 민원을 빌미로 혐오를 확산하고 평등의 가치를 훼손하는 진주시를 규탄한다! - 진주여성민우회 ‘2025 모두를 위한 성평등’ 연속강의에 대한 보조금 취소 행정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04 51
249 [논평] 차별금지법에 대한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입장을 환영하며, 이재명 정부와 22대 국회가 차별금지법 추진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04 47
248 인공지능 도입보다 경찰 인식 개선이 먼저다 – 경찰청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에 부쳐 -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7 64
247 ‘모두의 대통령’을 약속한 정부의 임명식 - ‘모두’를 담지 못한 국민 대표단 기획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41
246 [화요논평]여성폭력 근절에 앞장서는 여성가족부로 응답하라 -여성폭력 범죄 이후 피해자들이 겪는 현실을 마주하며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45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46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39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47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36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36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