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mg.png

 

<법무부 ‘새 정부 업무계획’에서 실종된 스토킹 근절 대책>

 

스토킹 처벌법이 제정된 지 1년이 훌쩍 지났다. 그러나 법이 미치지 않는 곳에서 스토킹 범죄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하루에 100통 이상 연락하며 피해자를 괴롭히고 집을 찾아가 위협한 사건, 경찰관인 가해자가 직장동료를 스토킹한 사건, 잠정조치가 풀리자마자 피해자를 다시 스토킹하는 사건, 같은 직장에서 일하는 피해자를 스토킹하다 결국 피해자를 살해한 사건 등 지난 한 달 동안만 해도 쏟아지는 기사를 다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의 행보를 보면, 스토킹 문제에 제대로 대응할 의지와 역량이 있는지조차 의심스럽다. 윤석열 정부는 인수위원회 시기에 발표한 110대 국정과제에서 스토킹 범죄를 5대 폭력으로 규정하고, 피해자 보호와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7월 26일 법무부의 ‘새 정부 업무계획 보고’에는 윤석열 정부가 후보 시절부터 공약으로 내세웠던 문제이자 스토킹 처벌법의 주요 개선과제로 지적되는 반의사불벌 조항 폐지에 관한 내용은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었다. 여성가족부가 올해 4월 정부안으로 발의한 「스토킹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은 현장의 문제 제기와 보완요청이 있었음에도, 작년 11월 입법안의 내용과 거의 다르지 않은 내용이다. 스토킹처벌법이 제정된 지 1년이 지나 내놓은 법안이라기엔 민망한 수준이다. 그마저도 발의 이후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 역시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스토킹 피해 실태를 파악할 기초자료로써 올해 3월 발표할 예정이었던 ‘여성폭력 실태조사’ 공개가 여러 차례 미뤄지고 있는 점 또한 문제다.

 

중앙정부가 스토킹 문제 해결에 손을 놓고 있는 사이, 지방자치단체는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자구책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기보다 피해자의 주의를 요하거나, 스토킹이 ‘모르는 사람’에게 발생할 것이라는 편견에 근거한 임시방편의 정책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스토킹 피해자를 지원하겠다며 휴대용 비상벨, 창문 잠금장치, 택배송장지우개 등 물품 지원을 골자로 하는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사업은 ‘피해자(여성)이 더 조심해야 한다’는 책임 전가와 비난에서 과연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는가. 스토킹은 여타 다른 범죄와 마찬가지로 피해자가 조심한다고 예방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대부분의 스토킹 피해는 친밀한 관계 내 남성에 의한 여성폭력의 맥락에서 발생한다는 기본을 아직 이해하지 못했는가.

 

스토킹은 제도적 개입이 필요한 사회적 범죄다. 여성 인권을 침해하는 폭력이며, 그렇기에 가해자에 대한 명확한 처벌과 여성폭력의 특성을 반영한 국가적 피해자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피해자와 밀접한 생활 관계에 있는 주변인을 포괄하는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스토킹 피해자를 위한 전담 지원기관, 스토킹으로 주거·학교·직장을 옮기거나 중단해야 하는 피해자를 위한 주거, 법률, 생계지원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라. 스토킹의 협소한 정의 확대, 반의사불벌 조항 폐지 등 스토킹 처벌법 개정 과제 또한 더는 미룰 수 없다. 윤석열 정부는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스스로의 발언에 책임을 다하라.

 

 

 

 

* 관련기사: https://vo.la/M38HAu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2080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8 인공지능 도입보다 경찰 인식 개선이 먼저다 – 경찰청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에 부쳐 - new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7 0
247 ‘모두의 대통령’을 약속한 정부의 임명식 - ‘모두’를 담지 못한 국민 대표단 기획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246 [화요논평]여성폭력 근절에 앞장서는 여성가족부로 응답하라 -여성폭력 범죄 이후 피해자들이 겪는 현실을 마주하며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0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0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2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4 [공동 성명] 다큐 ‘첫 변론’ 상영금지, 배상, 간접강제 1심 판결 당연하다 - 그 사망은 성폭력 피해자 탓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3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할 수사기관은 어디에 서 있는가 – 고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사건 혐의 인정 회피한 경찰 규탄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1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제21대 대통령,  여성과 소수자가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 국정운영으로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05 2
230 여성인권운동단체 활동 왜곡, 정치 도구화 하려는 조직적 행태를 고발한다! file admin 2025.06.04 5
229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멸시, 비하가 웃음거리인가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30 96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