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001.png

 

 

성폭력이 ‘여성에 대한 폭력’이 아니라는 궤변

- 인하대 성폭력 사망사건에 부쳐

 

 

 7월 15일, 인하대학교 교내에서 한 학생이 추락한 채 발견되어 끝내 숨졌다. 유력한 용의자로 검거된 이는 다름 아닌 같은 학교 동급생이었다. 그는 피해자를 성폭행한 혐의를 인정하였고, 살인 혐의에 대해 조사받고 있다. 이번 사건은 여성에게 안전하고 자유로운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과 함께, 여성폭력 문제가 우리 사회에 얼마나 시급한 과제인지를 다시금 드러냈다. 그러나 누리꾼과 언론을 비롯하여 제대로 된 반성과 대책을 내놓아야 할 대학과 정부까지 사건의 본질을 파악하고 대처하려는 노력보다 여성폭력에 대한 몰이해와 잘못된 통념을 기반으로 성폭력 사건을 ‘피해자의 탓’ ‘개인적 문제’ 등으로 축소·왜곡하고 있다.

 대부분의 언론사가 선정적이거나 성차별적 표현을 사용하여 사건을 보도하고, 기사 댓글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피해자에게 ‘왜 만취했느냐’며 비난의 눈길을 보내고, ‘밤늦게 돌아다니지 말고 조심하라’며 여성의 행동을 통제하려는 반응이 넘친다. 피해자의 신상정보를 캐내려는 시도 역시 끊이지 않는다. 또한, 사건 당시 피해자와 가해자가 음주했다는 이유로 사건의 원인을 ‘무분별한 음주’로 분석하기도 하고, 대학과 교육부는 건물의 야간 출입 통제, CCTV 증설 등을 대책으로 내놓으며 불평등한 성별 권력 관계에 기반을 둔 여성폭력 사건의 핵심을 놓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24일 한 인터뷰에서 해당 사건이 ‘여성에 대한 폭력이 아닌 성폭력 사건’이라며, 여성폭력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조차 없는 것은 아닌지 의심되는 황당한 발언을 늘어놓았다.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를 총괄하는 부처의 수장이 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 등 관련 특별법과 피해자 지원체계가 여성에 대한 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시민사회의 노력 끝에 부족하나마 법제화를 이루어낸 결과임을 조금도 모르는가. 1979년 여성차별철폐협약(CEDAW), 1993년 UN 여성폭력철폐선언, 1995년 북경 선언 및 행동강령 등 국제사회가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 철폐를 위해 만들어온 각종 조약, 협약, 선언의 첫 장도 읽어보지 않았는가. ‘여성에 대한 폭력’이 젠더에 근거한(gender-based) 것이며, 폭력을 하겠다는 협박, 강제, 임의적 자유박탈을 포함한다는 사실은 국제사회의 상식이다.

 성폭력이 여성에 대한 폭력이 아니라는 말로 여성폭력의 현실을 가릴 수 있다는 착각은 ‘구조적 성차별’이 없다는 말에 동조하며 여성폭력 근절과 성평등 실현이라는 국가의 책무를 망각하고자 하는 자들의 머릿속에서나 가능하다. ‘재발 방지’가 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공허한 구호에서 그치지 않으려면, 여성폭력의 본질에서 시작하라. 사건을 철저히 수사하고 가해자를 엄하게 벌하는 것은 기본이다. 국가는 여성폭력 및 여성살해 통계 시스템 구축을 시작으로 예외 없는 가해자 처벌, 빈틈없는 피해자 지원, 2차피해 방지 체계 구축 및 인식개선 등을 통해 여성폭력 범죄를 국가가 묵인하지 않음을 명확히 해야 한다. 언론은 성폭력범죄 보도 기준을 준수하여 2차피해를 최소화하고, 학교를 비롯한 공동체는 성평등한 관점의 내부규정 마련, 절차에 따른 신속한 사건처리를 보장해야 한다. 여성들은 성폭력을 가능하게 한 성차별적·폭력적 문화를 뿌리 뽑기 위한 연대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330071?sid=102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207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성명 및 논평 [민주주의 구하는 페미- 퀴어- 네트워크 입장문] 소수라 불리던 다수가 민주주의를 이끌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4 3
221 헌정질서 파괴, 내란수괴 대통령 윤석열 파면! 성평등 사회대개혁으로 대한민국 성평등 민주주의 실현하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4 4
220 장제원 전 의원에 의한 성폭력 사건 피해자의 용기에 연대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1 6
219 [화요논평] 세계여성의날 석방된 내란수괴 윤석열, 그러나 우리는 끝까지 싸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13 6
218 [공동논평] 정혜경 국회의원 형법 일부개정안, 22대 국회 첫 번째 ‘강간죄 개정’ 발의를 환영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6 3
217 [공동성명] 이화여대 폭력, 묵과할 수 없는 반민주적·반인권적 여성혐오 폭력이다. 폭력 선동한 유튜버와 핵심 관련자에 대해 즉각 수사하고 강력히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4 5
216 (성명 및 논평)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입장] 더 이상 차별과 혐오가 설 곳은 없다 이화여대 내 내란동조세력의 난입∙폭동을 규탄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4 4
215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의 ‘비동의강간죄’ 추진 여성가족부 직원 부당감찰 규탄 성명- 강간죄 개정 거부의 시대는 끝났다. 비동의강간죄 도입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4
214 [윤석열 파면 촉구 여성단체 기자회견 발언문] 우리는 이미  윤석열을 파면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5
213 [화요논평] 양당 교섭단체 연설에서 빠진 ‘성평등’과 ‘다양성’. 정치권은 여성들이 일상 속 ‘폭동’에 더 이상 침묵하지 마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3
212 [공동논평] 비동의강간죄 도입 촉구 국민동의청원 2건 성사,  국회는 더 이상 형법상 강간죄 개정 유예하지 말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04 5
211 [성명] 국가인권위원회가 수호해야 할 것은 ‘내란 행위’가 아닌 ‘민주주의’이다 - 성평등 퇴행에서 시작된 민주주의 파괴를 당장 멈춰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1.16 6
210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입장문] 주권자의 힘으로 내란수괴 윤석열을 체포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1.15 7
209 [화요논평] “최말자는 무죄다” - 60년 만의 재심 개시,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인정을 위한 정의의 길로 함께 가자 진해여성의전화 2024.12.26 14
208 무죄로의 역주행, 성폭력판결 이대로 안전한가? 진해여성의전화 2024.12.23 62
207 윤석열 대국민담화에 대한 긴급논평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12 7
206 세계인권선언기념일 기념 한국여성의전화 성명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11 7
205 헌법·법률 위반 내란죄 범죄자 윤석열을 탄핵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12.06 17
204 (긴급성명)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 당장 비상계엄을 해제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04 10
203 (성명서) 동덕여대 남여공학 전환 반대 시위에 관한 입장문 진해여성의전화 2024.11.28 24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