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mg.png

 

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가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여성들의 오랜 투쟁 끝에 만들어진 헌법재판소의 역사적인 결정은 마땅히 안전한 임신중지 권리 보장을 위한 체계를 만드는 시작점이어야 했다. 그러나 3년이 지난 지금도 정부와 국회의 방관 속에서 여성은 정보 부족, 의료기관으로부터의 거부, 의약품에 의한 임신중절 불가 등으로 임신중절에 대한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재생산권이 침해당하고 있다.

 

낙태죄 헌법불합치 이후, 낙태죄 보완 입법의 부재와 모자보건법 임신중절 수술 제한 조항의 미개정으로 여성들은 임신중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국회 상임위원회에는 낙태죄 조항을 완전히 폐지하는 안을 비롯하여 6개의 안이 계류 중이다. 행정부도 다르지 않다. 2019년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보건복지부 의료정책관이 ‘보완입법 없이는 임신중지에 대한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어렵다’고 밝힌 것은 법률의 부재를 핑계로 여성의 임신중지 권리에 대한 책임 회피일 뿐이다. 이렇듯 국가의 무책임, 무관심 속에 여성들의 재생산권 보장은 요원한 상황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표한 ‘2021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에 따르면, 임신중절을 원하던 여성들은 수술비용, 수술 의료기관, 수술 부작용 및 후유증 등의 정보가 필요했었다고 답했지만, 46.9%는 인공임신중절 정보를 (국가 및 전문기관을 통한 공식적 경로가 아니라) 인터넷 게시물 등을 통해 얻었다고 응답했다. 안전한 임신중지 의료서비스 접근권이나 의료보험 보장은커녕 기본적인 정보 제공조차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한편, 낙태죄 폐지라는 변화가 의료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것도 문제다. 한 언론사의 취재에 따르면 의료기관 10곳 중 8곳은 상담조차 거절했고, 일부는 ‘아기 아빠’의 동의를 요구하며, 수술 시 발생하는 모든 위험을 여성의 책임으로 전가하는 등 법률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거나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이러한 의료기관의 태도는 낙태죄 폐지의 목적과 취지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조치이자, 낙태죄 폐지를 사실상 무용지물로 만드는 처사이다. 모두를위한낙태죄폐지공동행동의 ‘2021 임신중지 경험 설문·실태조사 및 심층인터뷰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실제로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후 당사자들은 심리적인 위안을 얻었지만, 의료기관의 임신중절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변화되지 않았음을 느꼈다고 한다. 정부와 국회가 각자의 책임을 회피하며 시간을 보내는 사이, 여성들은 75개 국가에서 이미 합법적으로 유통되는 유산유도제조차 사용하지 못하고, 적절한 의료서비스에 접근하지 못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홀로 감내하고 있다. 

 

성적 자기결정권, 재생산권에 대한 보편적 접근과 제도적 수용을 보장하는 것은 국제적 기준이자 상식이다. UN은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 따라 성과 재생산 건강과 관련된 정보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가능성과 구매가능성, 수용가능성뿐 아니라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한다고 권고하였고, 당사국의 의무로서 성과 재생산 건강권이 완전히 실현될 수 있도록 신속하고 합리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아직까지도 제대로 된 임신중지 권리 보장이 이뤄지지 않았다. 6월 24일 미국이 임신중지권을 보장하던 판결을 폐지한 것과 같이 후퇴하지 않으려면 국회와 정부는 법제도 개선을 통해 유산유도제의 공적 도입, 임신중지 관련 의료행위 보장제도 마련, 편견 없는 의료행위 제공을 위한 의료인 교육 및 훈련, 임신중지로 인한 차별과 사회적 낙인 해소 등을 추진해야 한다. 국민을 위해 일한다는 국회와 정부는 여성들이 외쳐왔던 투쟁의 목소리를 잊어선 안된다. 여성시민들은 누구나 안전하게 임신과 출산을 결정할 수 있는 사회가 될 때까지, 지금까지 그래왔듯 계속해서 싸울 것이다.

 

 

*관련 기사 :

https://www.hani.co.kr/arti/society/women/1014875.html 

https://m.mdtoday.co.kr/news/view/1065600399943064 

https://srhr.kr/issuepapers/?idx=6243402&bmode=view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237692&sch_menu=1&sch_gubun=5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11809140004871?did=NA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383823_35744.html 

http://www.women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08 

https://zdnet.co.kr/view/?no=20220705192622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309 

 

*관련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모두를위한낙태죄폐지공동행동 '2021 임신중지 경험 설문·실태조사’

 

* 한국여성의전화와 함께하기 : https://vo.la/f1yRE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207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성명 및 논평 [민주주의 구하는 페미- 퀴어- 네트워크 입장문] 소수라 불리던 다수가 민주주의를 이끌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4 3
221 헌정질서 파괴, 내란수괴 대통령 윤석열 파면! 성평등 사회대개혁으로 대한민국 성평등 민주주의 실현하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4 4
220 장제원 전 의원에 의한 성폭력 사건 피해자의 용기에 연대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4.01 8
219 [화요논평] 세계여성의날 석방된 내란수괴 윤석열, 그러나 우리는 끝까지 싸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13 7
218 [공동논평] 정혜경 국회의원 형법 일부개정안, 22대 국회 첫 번째 ‘강간죄 개정’ 발의를 환영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6 4
217 [공동성명] 이화여대 폭력, 묵과할 수 없는 반민주적·반인권적 여성혐오 폭력이다. 폭력 선동한 유튜버와 핵심 관련자에 대해 즉각 수사하고 강력히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4 7
216 (성명 및 논평)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입장] 더 이상 차별과 혐오가 설 곳은 없다 이화여대 내 내란동조세력의 난입∙폭동을 규탄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4 6
215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의 ‘비동의강간죄’ 추진 여성가족부 직원 부당감찰 규탄 성명- 강간죄 개정 거부의 시대는 끝났다. 비동의강간죄 도입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5
214 [윤석열 파면 촉구 여성단체 기자회견 발언문] 우리는 이미  윤석열을 파면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7
213 [화요논평] 양당 교섭단체 연설에서 빠진 ‘성평등’과 ‘다양성’. 정치권은 여성들이 일상 속 ‘폭동’에 더 이상 침묵하지 마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5
212 [공동논평] 비동의강간죄 도입 촉구 국민동의청원 2건 성사,  국회는 더 이상 형법상 강간죄 개정 유예하지 말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04 5
211 [성명] 국가인권위원회가 수호해야 할 것은 ‘내란 행위’가 아닌 ‘민주주의’이다 - 성평등 퇴행에서 시작된 민주주의 파괴를 당장 멈춰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1.16 11
210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입장문] 주권자의 힘으로 내란수괴 윤석열을 체포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1.15 10
209 [화요논평] “최말자는 무죄다” - 60년 만의 재심 개시,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인정을 위한 정의의 길로 함께 가자 진해여성의전화 2024.12.26 18
208 무죄로의 역주행, 성폭력판결 이대로 안전한가? 진해여성의전화 2024.12.23 70
207 윤석열 대국민담화에 대한 긴급논평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12 10
206 세계인권선언기념일 기념 한국여성의전화 성명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11 10
205 헌법·법률 위반 내란죄 범죄자 윤석열을 탄핵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12.06 19
204 (긴급성명)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 당장 비상계엄을 해제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4.12.04 14
203 (성명서) 동덕여대 남여공학 전환 반대 시위에 관한 입장문 진해여성의전화 2024.11.28 27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