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001.png

 

 

과거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각 정당은 뼈아픈 자기반성에서부터 시작하라

- 연이은 정치권 내 성폭력 사건에 부쳐

 

16일 오전 더불어민주당이 의원총회에서 보좌관 성폭력 사건으로 박완주 의원을 제명하는 결정에 만장일치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13일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으로 임명된 윤재순이 과거 검찰 재직 시절 성추행으로 징계를 받은 적이 있으며, 여성과 여성폭력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담은 시집을 발간한 적이 있다는 사실이 보도되어 충격을 안겨준 지 며칠만이다.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박 의원 제명과 함께 논의되지는 않았지만, 동료 의원에게 성희롱성 발언을 했다는 지적을 받은 최강욱 의원이나 성폭력 사건에 대한 2차 가해를 묵인했다는 비판을 받은 김원이 의원에 대한 언급도 빼놓을 수 없다.

 

정치권에서의 성범죄가 드러날 때마다 각 정당은 서로를 비판하며 문제 해결 및 재발 방지에 힘쓰겠다고 다짐하곤 했다. 그러나 비슷한 사건은 계속 반복되었으며, 가해자 처벌, 2차 가해 방지 등 피해자 인권 보장을 위한 조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박완주 의원 제명 과정에 대해 비교적 빠르게 처리되었다는 평가도 있으나, 민주당은 수사를 통한 가해자 엄중 처벌이나 국회 윤리위원회 제소 등 추가 징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시기를 예상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가해 의원을 두둔하며 성폭력 문제를 제보한 보좌진을 색출하는 등 당 지지자들에 의한 심각한 2차 가해가 지속되는 것 역시 심각한 문제다. 연이어 발생했던 지방자치단체장에 의한 성폭력 사건 이후 각 정당은 문제 해결을 위한 TF 및 신고상담센터 신설, 교육 의무화 등을 약속했다. 그러나 성차별적 조직문화 개선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적극적인 의지에 기반한 지속적인 노력 없이 문제 해결은 불가능하다. 연이은 성폭력 사건으로 정치권은 이를 스스로 증명한 셈이다.

 

 

박완주 의원 제명 건을 두고 맹비난 중인 국민의힘 역시 성추행 가해자를 대통령실 비서관으로 임명한 대통령의 인사나 당 대표를 둘러싼 의혹에 대해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정의당 또한, 16일 전 청년정의당 대표가 정의당 소속 광역시도당 위원장에 의해 성폭력 피해를 입었다고 밝혀 당 차원에서 입장문을 발표한 후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정치권 내 성범죄 사건은 특정 당의 문제로 수렴되지 않는다. 국민을 대표한다는 정당이 해야 할 일은 반복되는 성범죄를 용인하는 정당 내 성차별적 관행과 문화를 반성하고, 당헌‧당규 및 조직문화를 정비할 뿐 아니라 구성원 인식 점검 등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가해자 엄중 처벌, 피해자 인권 보장, 2차 가해 및 재발 방지를 원칙으로 사건 해결 절차를 바로 세워야 한다. 부디 과거로부터 배우고, 현재에 실천하라. 이것이 공당으로 제 역할을 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205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0 민원을 빌미로 혐오를 확산하고 평등의 가치를 훼손하는 진주시를 규탄한다! - 진주여성민우회 ‘2025 모두를 위한 성평등’ 연속강의에 대한 보조금 취소 행정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04 6
249 [논평] 차별금지법에 대한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입장을 환영하며, 이재명 정부와 22대 국회가 차별금지법 추진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04 6
248 인공지능 도입보다 경찰 인식 개선이 먼저다 – 경찰청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에 부쳐 -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7 6
247 ‘모두의 대통령’을 약속한 정부의 임명식 - ‘모두’를 담지 못한 국민 대표단 기획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5
246 [화요논평]여성폭력 근절에 앞장서는 여성가족부로 응답하라 -여성폭력 범죄 이후 피해자들이 겪는 현실을 마주하며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5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8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6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6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6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6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6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6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6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5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8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5
234 [공동 성명] 다큐 ‘첫 변론’ 상영금지, 배상, 간접강제 1심 판결 당연하다 - 그 사망은 성폭력 피해자 탓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6
233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할 수사기관은 어디에 서 있는가 – 고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사건 혐의 인정 회피한 경찰 규탄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13
23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10
231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제21대 대통령,  여성과 소수자가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 국정운영으로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05 1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