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001.png

 

폐지할 것은 여성가족부가 아닌 성차별을 선언하는 공약이다

 

 제20대 대통령선거 공식선거운동 첫날인 2월 15일 저녁,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여성가족부 폐지는 저의 핵심 공약이 맞습니다.’라는 글을 본인의 소셜네트워크에 올렸다. ‘가정에 배포되는 선거 공보물 일부에 위 공약이 빠진 것은 홍보 수단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전략’일 뿐이라며 지지자들을 다독였는데 이는 안티페미니즘에 목소리를 높이는 일부 남초 커뮤니티 반발 여론을 의식한 행보로 보인다. 성차별적 인식과 무지로부터 나온 한심한 공약은 대선 기간 전반에 걸쳐 지속되고 있다. 윤 후보는 사법 공약에서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을 폐지하겠다며 대놓고 ‘검찰 공화국’을 연상시키는 발언을 하고, 성폭력 가해자가 ‘일단 무고’로 피해자를 움츠러들게 만드는 현실은 외면한 채 성범죄와 무고를 동일 선상에 놓으며 무고죄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발언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지난 12일, 선거에서 여성 정책이 실종되고, 혐오와 배제가 정치의 도구로 사용되는 대선 상황을 비판하며 서울 보신각에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 행동’ 참가자 299명이 모였다. 발언자들은 이미 성차별적이고 구조화된 지 오래된 노동시장 속 여성 노동자의 문제, 가부장적인 사회구조 속에서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온 여성 폭력, 여성 혐오, 여성 빈곤 그리고 성 착취 피해자들에 대한 문제까지 다양한 여성 문제에 대해 발언했다. 여성주권자들이 여성이 처한 현실과 문제점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고 목소리 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20대 대선은 ‘여성도 주권자다.’라고 외쳐야 할 만큼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는다. 윤 후보는 10대 공약에서 ‘청년이 내일을 꿈꾸고 국민이 공감하는 공정한 사회 - 여성가족부 폐지’를 일곱 번째 공약으로 내세웠다. 그가 말하는 ‘청년’은 대체 누구이며 그 ‘누구’만의 내일과 그 ‘누구’에게만 ‘공정’한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가?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 처한 현실은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지난 9일 발표된 2020년 국가성평등지수는 전년보다 겨우 1점 상승하였고, 의사결정 분야는 가장 저조해 한국사회의 공고한 ‘유리천장’을 재차 확인케 했다.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유리천장 지수’에서 한국은 조사가 시작된 이래 9년 연속 꼴찌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1일에는 아내를 살해한 남편이 체포되었고, 15일에도 경찰의 신변 보호를 받던 여성이 접근금지 명령에도 불구하고 접근한 가해 남성에 의해 피살되었다. 친딸을 성폭행해 죽음으로 내몬 남성은 고작 7년 형을 선고받았고, 호감 거절을 이유로 직장동료 음료에 락스를 넣은 남성은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정말 한국 사회에 구조적 성차별 문제가 없으며, 여성 대상 범죄는 개인적인 일인가. 

 매일같이 폭력 피해를 입거나 살해당한 여성, 일터에서 위협받는 여성, 가장 안전해야 할 가정에서조차 안전하지 못한 여성들의 기사가 쏟아지지만, 여성을 향한 차별과 폭력이 ‘옛날얘기’라 이야기하는 이는 얼마나 본인만이 안전한 세상에서 공정을 이야기했는지 돌아봐야 한다. 국민 전체를 대변해야 할 대통령 후보는 대체 누구만을 청년과 국민으로 바라보고 공약을 제시하고 있는가.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이 난무한 현실을 직시하지 않은 채 여성가족부 폐지, 성폭력 무고죄 처벌 강화 등 반(反)여성적 공약에 공감할 수 있는 이는 오직 차별에 찬성하는 차별주의자뿐이다. 윤 후보는 반여성적 행보로 세력을 다지고, 차별과 혐오의 정치로 표를 모으는 행태를 멈추고, 무책임하며 성차별적인 공약을 즉각 철회하라!

 

<함께하는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 행동>

 

[시국토론회] 세대와 젠더 분열을 넘는 페미니스트 주권자 행동 포럼 : 미투에서 대선까지

- 일시 : 2022년 2월 19일(토) 오후 2시

- 장소 : 서울여성플라자 1층 국제회의실 / 온라인 줌

- 참여신청 : bit.ly/주권자시국토론

 

[온라인서명] 차별과 혐오, 증오선동의 정치를 부수자 -페미니스트 주권자 10만 명의 목소리를 "온라인 서명"으로! 지금 '한국 사회에 필요한 변화'를 전해주세요!

- 서명 기간: ~ 2022.3.8.(화)

- 참여링크: https://campaigns.kr/campaigns/574    

 

 * 관련기사 

1. https://news.v.daum.net/v/20220215204022605

2. https://news.v.daum.net/v/20220214121023956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2021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0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0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2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4 [공동 성명] 다큐 ‘첫 변론’ 상영금지, 배상, 간접강제 1심 판결 당연하다 - 그 사망은 성폭력 피해자 탓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3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할 수사기관은 어디에 서 있는가 – 고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사건 혐의 인정 회피한 경찰 규탄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1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제21대 대통령,  여성과 소수자가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 국정운영으로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05 1
230 여성인권운동단체 활동 왜곡, 정치 도구화 하려는 조직적 행태를 고발한다! file admin 2025.06.04 5
229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멸시, 비하가 웃음거리인가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30 96
228 언어 성폭력 가해자 이준석은 대통령 후보 당장 사퇴하라! file admin 2025.05.29 97
227 신고해도 살해당했다.피해자는 도대체 무엇을 해야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가 file admin 2025.05.21 96
226 드디어 시작된 재심, 검찰은 피해자를 존중하는 자세로 재판에 임하라 file admin 2025.05.16 96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