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평등이 민주주의의 완성이다

 

창원시의회는 성평등 의회로 거듭나기를 촉구한다!

 

 

쉽게 끝나지 않는 코로나 19로 인해 여성들의 일자리 시장은 더욱 좁아지고 가사와 돌봄의 무게는 여성들의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으며, 디지털 성착취, 성폭력, 교제폭력, 여성혐오폭력, 직장내 성희롱 및 성차별 등으로 여성들은 여전히 일상이 보장되지 않는 안전 문제로 인해 이중, 삼중고로 불안하고 불편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지난 2월 15일 창원시의회 부의장이 한 동료 여성의원에게 성희롱으로 받아들일 만한 발언을 했고, 법원은 부의장에게 허위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벌금 300만원의 약식명령을 결정했다는 언론보도를 보면서 우리 여성들은 실망을 먼어 이제 허탈하기까지 하였다. 보다 높은 성인지감수성으로 성평등 사회 구현에 앞장서야 할 3선 시의원 그것도 부의장직의 시의원이 동료 여성의원에 대해 성적 수치심과 모멸감을 안겨주는 허위 명시적 말을 하였고 그 말을 전해들은 해당 여성의원은 그로 인해 의정활동이 위축되었다하니 창원시의회 부의장의 낮은 성(性) 인식 수준을 지걱하지 않을 수 없다. 부의장은 해당 여성의원과 창원시민에게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해야 할 것이고 자신의 행위에 대해 겸허히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 이다.

 

또한 피해 당사자로부터 전해들은 바로는 의회 내에서 "니가 참아라", "니만 아니면 안되나?" 등의 발언으로 당사자의 문제제기를 막는 행위가 있었고, 심지어 "동료의원에게 벌금을 물게 하니 시원하냐?"등의 가해자를 두둔하는 2차 가해가 동료의원들에게 의해 발생하였다고 하니 일부 창원시의회 의원들의 성인지감수성이 개탄스럽다.

 

우리 사회는 오랜 기간 뿌리 내린 가부장제로 말이암아 정치는 남성의 영역으로 간주되어온 인식 때문에 여성의 정치 세력화는 상대적으로 그 문이 좁고 정치활동의 길은 이중 삼중고로 더욱 험난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가지고 의회에 진출한 여성의원들이 남성 동료의원들로부터 동료의원으로서 존중받지 못하고 오히려 성적 대상화 되고 권리가 침해당하는 등의 성차별 문화 속에서 여성의원들의 의정활동은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성평등이 민주주의의 완성이며우리사회가 당면한 저출생 문제의 해결책 또한 성평등이다. 우리 사회가 지속 발전이 가능하려며 성평등 사회로 나아가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누구보다도 정치인들의 적극적인 성(性)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민의를 대표하는 의회 의원들은 누구보다 높은 성인지감수성을 가져야하고 입법 활동이나 정책 결정과 실행에서 성인지적 관점으로 정책이 행하여지는지 점검하고 여성의 권리와 지위가 개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이번 사건은 성인지감수성 낮은 한 의원의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다.  창원시의회 내 여성차별, 여성비하,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여 발생하는 성희롱, 성추행과 같은 성폭력을 용인하는 문화가 이번과 같은 사건을 만들어내고 그러한 문화가 바꾸지 않는 한 차후 이런 유사한 사건들은 또 발생할 것이다.

 

이에 창원시의회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의원들의 낮은 성인식으로 반복 발생되는 의회내 성차별 문화를 개선하여 여성의원들의 권리와 정책 활동이 훼손되거나 위축되도록 해서는 안 될 것이며, 다시느 이와 같은 사안이 재발되지 않도록 적극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원시의회는 여성친화도식를 표방하는 창원시에 발맞춰 모든 의원들이 성차별 없이 의정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성평등 의회로 거듭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경남여성단체연합 회원 및 창원시 여성들은 이번 사건으로 말미암아 심적, 물적 고통을 겪은 당사자 여성의원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하여 의정활동을 더욱 힘차게 해나가기를 기대하며 연대와 지지를 보내며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 우리의 요구 >

 

- 창원시 의회는 성평등 의회로 거듭나기 위한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고 창원시민 앞에 공표하라!

 

- 창원시 의회 의장은 의원 대상 성인지감수성 강화 교육 계획을 수립하라!

 

- 창원시 의회는 윤리강령 및 윤리실첮 규범을 젠더 관점으로 점검하고 성차별, 성폭력 행위금지 및

  처벌 조항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라!

 

 

2021.  2.  18

 

 

경남여성단체연합, 경남여성장애인연대, 경남여성회, 김해여성의전화, 김해여성회, 디딤장애인성인권지원센터, 마산창원여성노동자회, 진주여성민우회, 진해여성의전화, 창원여성살림공동체, 창원여성의전화, 통영여성장애인연대, 전국여성노동자회 경남지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0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0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2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4 [공동 성명] 다큐 ‘첫 변론’ 상영금지, 배상, 간접강제 1심 판결 당연하다 - 그 사망은 성폭력 피해자 탓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3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할 수사기관은 어디에 서 있는가 – 고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사건 혐의 인정 회피한 경찰 규탄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1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제21대 대통령,  여성과 소수자가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 국정운영으로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05 1
230 여성인권운동단체 활동 왜곡, 정치 도구화 하려는 조직적 행태를 고발한다! file admin 2025.06.04 5
229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멸시, 비하가 웃음거리인가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30 96
228 언어 성폭력 가해자 이준석은 대통령 후보 당장 사퇴하라! file admin 2025.05.29 97
227 신고해도 살해당했다.피해자는 도대체 무엇을 해야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가 file admin 2025.05.21 96
226 드디어 시작된 재심, 검찰은 피해자를 존중하는 자세로 재판에 임하라 file admin 2025.05.16 96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