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논평 화요논평입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18.03.15 08:50 조회 수 : 183

정부는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권고를 즉각 이행하고,

성폭력 피해자의 인권을 보장하라!

 

 

지난 12일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는 한국정부에 권고안을 내놓았다. 그 중 성폭력과 관련하여서는 폭행과 협박이 아닌 동의 여부로 강간을 판단하도록 형법 297조를 개정하고 배우자 강간을 범죄화 할 것,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형사소송 남용 예방을 위한 조치를 시행하고 피해자의 성 이력을 사법 증거로 채택하는 것을 금지할 것과 같은 사항을 권고했다.

 

한국에서 성폭력은 동의여부보다는 피해자의 저항 정도, 폭행과 협박유무, 피해자 개인 이력 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폭행과 협박이 없거나 죽을 만큼 저항하지 않으면 성폭력으로 인정받기 힘들다. 이런 법의 맹점을 이용해 가해자들은 피해자를 무고로 몰거나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고, 피해자의 성격, 직업 등 성폭력 피해와 아무 관련 없는 피해자 개인 신상을 가지고 성폭력 범죄를 부인한다. 이런 식으로 가해자들은 성폭력 혐의에서 쉽게 벗어난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성폭력 피해와 동시에 무고한(?) 가해자를 고소했다는 혐의까지 덧씌워져 2차 피해를 당한다.

 

현재 우리 사회를 휩쓸고 있는 미투운동도 이러한 만연한 2차 피해의 흐름에서 자유롭지 않다. 당장에 몇몇 가해자들은 범죄를 부인하며 피해자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고 나섰다. 그리고 소위 가해자 측근들은 피해자가 피해자답지 못하다거나 왜 그때 거부하지 않았느냐며 피해자를 비난하고, 피해자의 행실이나 삶의 이력에 대해 평하면서, 이런 말들을 사실인양 퍼뜨리고 있다. 악의적으로 확산된 소문들은 성폭력과 미투운동의 본질을 흐리며, 소중한 말하기들을 훼손하고 있다.

 

최근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 카다리 부의장은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한국에서 나타난 미투 운동에 대한 반격(backlash) 현상을 언급하며 미투 운동 이후 무고나 명예훼손으로 고소하는 움직임이 늘어나는 모습은 한국의 독특한 현상이며 이런 사례를 본 적이 없고 이게 얼마나 강력한 전략인지 정부가 인식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국정부는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권고안에 대한 이행계획을 세우고, 미투운동을 통해 이제 외부로 성폭력 피해를 말하기를 시작한 피해자들을 성폭력 2차 피해로부터 보호하고, 인권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가해자를 제대로 처벌할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또한 가해자는 성폭력 말하기를 가로막는 모든 행위들을 즉각 멈춰야 할 것이다.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180313

* 관련자료 https://goo.gl/CRrb8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4 이재명 대통령의 납작한 성인지 인식 경청, 공정, 신뢰를 토대로 청년 여성의 목소리를 경청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25 23
253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은 여성폭력 근절에서 시작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25 23
252 조국혁신당은 성폭력 사건을 ‘리스크’로 관리하려는 태도를 멈춰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25 24
251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인정을 환영한다. 61년 만의 재심 무죄 판결은 최말자와 우리 모두의 승리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25 21
250 민원을 빌미로 혐오를 확산하고 평등의 가치를 훼손하는 진주시를 규탄한다! - 진주여성민우회 ‘2025 모두를 위한 성평등’ 연속강의에 대한 보조금 취소 행정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04 36
249 [논평] 차별금지법에 대한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입장을 환영하며, 이재명 정부와 22대 국회가 차별금지법 추진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9.04 34
248 인공지능 도입보다 경찰 인식 개선이 먼저다 – 경찰청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에 부쳐 -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7 52
247 ‘모두의 대통령’을 약속한 정부의 임명식 - ‘모두’를 담지 못한 국민 대표단 기획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30
246 [화요논평]여성폭력 근절에 앞장서는 여성가족부로 응답하라 -여성폭력 범죄 이후 피해자들이 겪는 현실을 마주하며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33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34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32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36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26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29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36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32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31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38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32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3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