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가정폭력범죄 피해여성의 신변보호와 자립지원을 강화한
가정폭력방지법 개정법률안 발의를 환영한다

제공일 : 2016.08.24 ㅣ 제공자 : 한국여성의전화

문의 : 한국여성의전화 인권정책국 ㅣ 전화:  02-3156-5415 ㅣ 팩스 : 02-2256-2190

오늘 8월 24일, 국회에서는 가정폭력 피해자의 존엄성과 안전을 보장하는 것을 기본 이념으로 삼고, 이혼 진행 중인 피해자와 피해자 자녀의 안전 보장 및 피해여성의 자립지원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2001773)이 정춘숙 의원 대표발의로 발의되었다. 법안의 주요 내용은 ▲이혼 과정 중인 피해자 신변보호 ▲피해자의 수사기관 또는 법원 출석 시 경찰 동행 ▲비밀엄수 의무자 확대 ▲피해자에 대한 ‘생활보호 특례’ 조항 ▲피해자 자립지원금 지원 ▲피해자의 특성을 고려한 보호시설 종류 확대 ▲상담소나 보호시설 종사자 신변보호 강화 ▲고용 상 불이익 위반 시 처벌조항 등이다.

개정안 내용 중 특히 가정폭력으로 인한 이혼 과정 중 가해자에 대해 자녀면접교섭권 및 부부상담을 제한하고, 피해여성과 자녀들의 개인정보에 대한 비밀엄수 의무자를 확대하여 안전을 위협받지 않도록 한 것은 폭력에서 피신한 여성들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조항들이다. 또한 쉼터로 피신한 피해여성들에 대해 범죄피해자로서 별도의 자산 조사 없이 모두 지원하고, 자립·자활을 위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며, 쉼터 퇴소 뒤 자립 지원금을 지원하여 생존권을 보장하도록 한 조항들은 피해여성들이 폭력에서 벗어날 수 있기 위한 최우선 과제이다.

이달 12일, 한 여성은 이혼을 요구했다는 이유로 가해자가 집에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질러 온몸에 화상을 입었다. 지난해 5월에는 피해여성이 이혼소송 중에 찾아온 가해자에게 흉기로 수차례 찔려 살해됐고, 12월에는 자녀면접교섭권을 빌미로 찾아온 가해자로부터 피해여성과 자녀 모두 살해됐다. 2013년에는 쉼터로 피신해 이혼소송을 낸 피해여성에게 법원이 부부상담 명령을 내린 상황에서, 이혼해주겠단 빌미로 집에 오도록 한 가해자로부터 피해여성이 목을 졸려 살해됐다. 이처럼 여성들은 가해자의 폭력으로부터 탈출하려는 과정에서 중상을 입거나 목숨을 잃고 있다. 피해여성들은 또한 가해자의 협박과 추적에 노출되고 있으며, 쉼터로 피신했지만 관련 공무원, 경찰, 교육기관, 의료기관 등 관계자들의 정보 노출로 위험에 빠지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국가로부터 자신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폭력 피해에서 살아남기 위해 쉼터에 입소한 가정폭력범죄 피해자의 대부분은 집과 재산을 모두 두고 탈출하며, 자신의 힘으로 피난처를 마련할 수 있는 경제적인 능력이 안 되는 상황이다. 설령 피해자 명의의 재산이 있다 해도 현재 가해자가 점유·이용 중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신변 노출의 위험으로 재산에 대한 권리도 행사할 수 없다. 그러나 정부는 입소자 자산조사를 실시하여 시설수급, 비수급자로 나누고, 시설비수급자에게는 의료급여증을 발급하지 않는 등 행정적 편의에 따라 차등적용함으로써 피해여성들을 지원하는 데 어려움이 큰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쉼터에서 퇴소한 뒤의 주거 및 생계를 해결하기 어려운 대부분의 피해자들은 이로 인해 가해자와의 관계를 단절하지 못하면서 또다시 폭력에 노출되는 상황에 놓인다. 따라서 쉼터 퇴소 시 생계비 및 주거 마련을 위한 자립지원금을 통해 자립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은 폭력 예방 및 피해여성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핵심 과제임에도 지금까지의 제도적 공백은 이를 놓쳐왔다.

‘가정’을 지키는 것을 우선으로 하는 법과 정책, 가해자 처벌은커녕 피해자 보호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피해자들의 생명은 여전히 위협받고 있으며 또한 위태롭다.

내년은 가정폭력방지법이 제정된 지 20년이 되는 해이다. 가정폭력범죄 피해자의 신변안전과 자립지원을 강화하는 가정폭력방지법 개정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 20대 국회에서는 반드시 가정폭력방지법이 개정되어 가정폭력범죄 피해여성들의 생존이 달린 안전과 자립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국여성의전화는 시민들과 함께 가정폭력범죄의 특성을 반영하고 피해자의 권리에 입각한 법 개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끝까지 힘을 모아갈 것이다.

2016. 8. 24

한국여성의전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5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
244 차별과 혐오로 인권을 훼손하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3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2 '가정사'인가 '인권 침해'인가, 가해자 당적에 따라 달라지는 이중잣대 규탄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전 대변인 가정폭력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241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0
240 권리 보장을 위한 진전,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의결을 요구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9 차별과 혐오를 넘어  성평등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8 (입장문)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재심 사건 검찰 무죄 구형에 따른 한국여성의전화 입장문 "이제 법원의 차례이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5 0
237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0
236 [공동성명] ‘여성과 소수자’ 없는 국민주권정부, 강선우 장관 후보자 지명 즉각 철회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2
235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4 [공동 성명] 다큐 ‘첫 변론’ 상영금지, 배상, 간접강제 1심 판결 당연하다 - 그 사망은 성폭력 피해자 탓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233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할 수사기관은 어디에 서 있는가 – 고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사건 혐의 인정 회피한 경찰 규탄한다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231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제21대 대통령,  여성과 소수자가 배제되지 않는 성평등 국정운영으로 응답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6.05 1
230 여성인권운동단체 활동 왜곡, 정치 도구화 하려는 조직적 행태를 고발한다! file admin 2025.06.04 5
229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멸시, 비하가 웃음거리인가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30 96
228 언어 성폭력 가해자 이준석은 대통령 후보 당장 사퇴하라! file admin 2025.05.29 97
227 신고해도 살해당했다.피해자는 도대체 무엇을 해야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가 file admin 2025.05.21 96
226 드디어 시작된 재심, 검찰은 피해자를 존중하는 자세로 재판에 임하라 file admin 2025.05.16 96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