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dlsrhdwlsmd.png

 

 

 8월 25일, 경찰청은 연이은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경찰의 현장 대응 강화를 위한 가해자 격리, 피해자 보호 체계 개선과 같은 일부 조치는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변화로 보인다. 그러나 경찰청이 가정폭력, 스토킹, 교제폭력에 아동학대를 포함하여 ‘관계성 범죄’라는 개념을 제시한 것은 젠더 기반 폭력의 구조적 특성을 희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번 대책의 대부분의 정책은 기존 제도의 연장선에 있어, 보다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개선책이 필요해 보인다.

 

 경찰청이 이번 대책에서 발표한 정책 중 민간경호 서비스 연계와 CCTV 설치, 피해자 모니터링은 이미 시행 중인 제도들이다. 민간경호 서비스의 경우 국가가 피해자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져야 하는 책임을 민간에 전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CCTV 설치와 피해자 모니터링은 폭력의 원인인 가해자를 처벌하고 격리하는 방향이 아니기에 선제적인 효과를 담보하지 못한다. 더욱이, 가정폭력처벌법의 상담조건부 기소유예 등 폭력을 상담으로 해결하려는 정책에 폐지 요구가 빗발치는 가운데, 가해자에 대한 상담과 치료위탁을 경찰 단계로 확대하려는 방침은 문제적이다.

 

 이번 대책에서 눈에 띄는 것은 AI를 통한 재범위험성 평가 시스템과 피해자 자동신고 앱 개발인데, 경찰의 인식 개선 없이 기술만으로는 무엇도 해결할 수 없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현장 경찰관의 역량 강화 방안은 제대로 제시되지 못했다. 지금까지 경찰이 피해자 보호에 실패한 것은 제도가 없어서가 아니라 현장 대응 역량의 한계 때문이었다. 지난 6월 부평 가정폭력 살인사건에서 경찰은 도움을 요청한 피해자에게 “남편도 집에 들어올 권리가 있다”라고 말하며 ‘긴급 임시조치 판단조사표’의 위험도를 10점 만점에 2점으로 판단하였다. 이런 현실에서 이번 종합대책에 제시된 ‘관계성 범죄 대응 지침을 간소화한 교육자료’ 배포와 ‘지역경찰 소식지’ 발간이 ‘관계성 범죄의 특성에 대한 업무 담당자들의 이해도 제고’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인가.

 

 변화를 위해서는 더 본질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기술과 제도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관계성 폭력’이 성차별적 사회구조에서 발생하는 폭력임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친밀한 관계에서 벌어지는 여성폭력과 여성살해는 가부장적 권력구조와 성역할 고정관념, 여성을 통제할 수 있다는 성차별적 통념이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를 직시하지 못하면 근본적 해결에 이를 수 없다. 중앙경찰학교, 경찰대학교, 경찰인재개발원 등의 교육기관에서부터 이러한 관점에서의 교육을 정규 교과목으로 편성하여 모든 경찰관이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현장 상황을 시뮬레이션하여 일대일 교육하는 해외의 선진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이에 상응하는 수준의 예산과 노력을 투여해야 한다. 이를 통해 경찰의 전문 역량이 확보되어야 기술 도입과 같은 다른 제도들도 실효성 있게 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508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인공지능 도입보다 경찰 인식 개선이 먼저다 – 경찰청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에 부쳐 - new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7 0
199 ‘모두의 대통령’을 약속한 정부의 임명식 - ‘모두’를 담지 못한 국민 대표단 기획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198 [화요논평]여성폭력 근절에 앞장서는 여성가족부로 응답하라 -여성폭력 범죄 이후 피해자들이 겪는 현실을 마주하며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197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
196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195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0
194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0
193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19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191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멸시, 비하가 웃음거리인가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30 96
190 신고해도 살해당했다.피해자는 도대체 무엇을 해야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가 file admin 2025.05.21 96
189 드디어 시작된 재심, 검찰은 피해자를 존중하는 자세로 재판에 임하라 file admin 2025.05.16 96
188 ‘빛의 혁명’을 만든 여성 주권자들, 이제는 성평등 민주주의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5.13 97
187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하고 국가인권위원회 정상화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13 97
186 [화요논평]국가성평등지수 하락에도 성평등 정책 언급조차 없는 대선주자들,  ‘빛의 혁명’을 이어갈 자격 없다 admin 2025.04.30 97
185 [화요논평] 세계여성의날 석방된 내란수괴 윤석열, 그러나 우리는 끝까지 싸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13 104
184 [공동논평] 정혜경 국회의원 형법 일부개정안, 22대 국회 첫 번째 ‘강간죄 개정’ 발의를 환영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6 102
183 [윤석열 파면 촉구 여성단체 기자회견 발언문] 우리는 이미  윤석열을 파면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105
182 [화요논평] 양당 교섭단체 연설에서 빠진 ‘성평등’과 ‘다양성’. 정치권은 여성들이 일상 속 ‘폭동’에 더 이상 침묵하지 마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101
181 [공동논평] 비동의강간죄 도입 촉구 국민동의청원 2건 성사,  국회는 더 이상 형법상 강간죄 개정 유예하지 말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04 103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