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f9e81f2086945.png

 

2024년 12월 18일, 대법원은 ‘56년 만의 미투’라 알려진 사건의 재심 청구를 기각한 원심을 파기환송했다. 이로써 사건 이후 60년 만에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인정을 위한 재심을 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사건 발생일부터 22,142일, 재심청구 후 4년 7개월이 흘러서야 열린 정의를 향한 시작이다.

본 사건은 강간을 시도한 남성의 혀를 깨물었던 피해자가 사법 절차상의 인격 침해와 함께 징역 10개월, 집행유예 2년의 유죄 선고를 받았던 사건이다. 오랜 시간이 흘러 미투운동을 지켜본 피해자는 자신의 방어 행위를 정당방위로 인정받고, 본 사건의 해결이 현 시대의 여성들, 성폭력 피해자들에게 힘이 되기를 바라며 2020년 5월 6일 재심 개시를 청구했다. 이후 부산지방법원과 부산고등법원의 어처구니없는 재심 청구 기각에도 최말자 님은 투쟁을 이어갔다.

이번 판결에서 대법원은 파기환송 취지에 대해 직권남용에 의한 불법 체포·구금 등에 관한 피해자의 진술은 충분한 신빙성이 있고, ‘당시 형사사법 절차에서 형사소송법이 정한 적법절차의 원칙이 엄격하게 준수되지 못한 관행이나 분위기’, ‘여성에 대한 차별적 인식과 가치관이 팽배하였던 가부장적 제도의 시대’에서 피해자가 사건 당시 국가 사법기관의 불법행위를 바로 주장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점, 그리고 형사소송원칙에 따른 권리를 제대로 보장받지 못한 피고인을 구제하고 인권을 옹호하기 위한 재심 제도의 취지를 고려해 사건을 다시 심리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대법원의 판결을 환영하며, 사법기관은 재심이 자신들이 침해한 여성폭력 피해자의 권리와 지난 사법절차상의 과오를 되돌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점을 명심하여 정의로운 판결로 응답하기를 바란다.

대법원의 결정까지 여성폭력 피해자의 사법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수많은 시민들이 함께해왔다. 기자회견, 1인 시위, 캠페인, 66,340명의 시민이 함께했던 서명운동 등 어디서든 만남과 연대의 장을 열어온 시민들이 아니었다면 지금의 결과는 없었을지도 모른다. 이제 무죄 판결만이 남았다. 한국여성의전화는 앞으로도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인정을 위해 피해생존자, 그리고 연대하는 시민들과 끝까지 투쟁할 것이다. 함께 도착한 정의의 문 앞에서 외치자. “최말자는 무죄다!”

 

2024년 12월 24일

한국여성의전화

강릉여성의전화, 강화여성의전화, 광명여성의전화, 광주여성의전화, 군산여성의전화, 김포여성의전화, 김해여성의전화, 대구여성의전화, 목포여성의전화, 부산여성의전화, 부천여성의전화, 서울강서양천여성의전화, 성남여성의전화, 수원여성의전화, 시흥여성의전화, 안양여성의전화, 영광여성의전화, 울산여성의전화, 익산여성의전화, 전주여성의전화, 진해여성의전화, 창원여성의전화, 천안여성의전화, 청주여성의전화

 

 

* 재심 무죄 판결 촉구 서명하러가기 : https://forms.gle/iQ4ZwF6JWXqq7Wvr6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4122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 인공지능 도입보다 경찰 인식 개선이 먼저다 – 경찰청 「관계성 범죄 종합대책」에 부쳐 - new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7 0
199 ‘모두의 대통령’을 약속한 정부의 임명식 - ‘모두’를 담지 못한 국민 대표단 기획에 부쳐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198 [화요논평]여성폭력 근절에 앞장서는 여성가족부로 응답하라 -여성폭력 범죄 이후 피해자들이 겪는 현실을 마주하며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8.20 0
197 [화요논평] ‘스토킹’, ‘교제폭력’, ‘강력범죄’, ‘여성살해’는 다른가? - 이재명 대통령의 ‘스토킹 엄정 대처 요구’와 정부·국회의 대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14 1
196 매일 발생하는 여성의 죽음 앞에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여성살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책없는 반응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8.06 0
195 [화요논평] 스토킹 신고 후 피살, 매번 똑같이 실패하는 대한민국 – 정부는 여성폭력 범정부 종합대책 신속히 마련하고 즉각 실행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9 0
194 이재명 대통령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7.22 0
193 여성가족부에 대한 명확한 목적 의식 부재가 낳은 부적절한 지명과 부적합한 후보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5.07.17 0
192 [논평] 성평등은 정치적 도구가 아니라 민주사회 실현의 기본 전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6.11 2
191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멸시, 비하가 웃음거리인가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30 96
190 신고해도 살해당했다.피해자는 도대체 무엇을 해야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가 file admin 2025.05.21 96
189 드디어 시작된 재심, 검찰은 피해자를 존중하는 자세로 재판에 임하라 file admin 2025.05.16 96
188 ‘빛의 혁명’을 만든 여성 주권자들, 이제는 성평등 민주주의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5.13 97
187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하고 국가인권위원회 정상화하라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5.05.13 97
186 [화요논평]국가성평등지수 하락에도 성평등 정책 언급조차 없는 대선주자들,  ‘빛의 혁명’을 이어갈 자격 없다 admin 2025.04.30 97
185 [화요논평] 세계여성의날 석방된 내란수괴 윤석열, 그러나 우리는 끝까지 싸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13 104
184 [공동논평] 정혜경 국회의원 형법 일부개정안, 22대 국회 첫 번째 ‘강간죄 개정’ 발의를 환영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3.06 102
183 [윤석열 파면 촉구 여성단체 기자회견 발언문] 우리는 이미  윤석열을 파면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105
182 [화요논평] 양당 교섭단체 연설에서 빠진 ‘성평등’과 ‘다양성’. 정치권은 여성들이 일상 속 ‘폭동’에 더 이상 침묵하지 마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21 101
181 [공동논평] 비동의강간죄 도입 촉구 국민동의청원 2건 성사,  국회는 더 이상 형법상 강간죄 개정 유예하지 말라 진해여성의전화 2025.02.04 103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