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mg.pngimg.pngimg.pngimg.pngimg.pngimg.pngimg.png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강화한다면서 여가부 폐지?

- “네”라는 대답은 잘못됐다

 

김현숙 여성가족부(여가부) 장관은 지난 18일 열린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에서 5대 폭력(권력형 성범죄, 디지털 성범죄, 가정폭력, 교제폭력, 스토킹범죄 등) 피해자의 원스톱 지원을 강화하고 권력형 성범죄를 근절하겠다고 밝혔다. 인사청문회 답변자료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구조적 성차별’에 대해 "법과 제도는 상당 부분 개선되었으나, 노동시장의 불공정성,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문제 등을 해소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도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와 성평등 정책 전담 부처인 여가부 폐지에 대한 의지는 분명히 하는 모순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한국 정부의 행보와 달리, 사회적 연대가 성폭력 피해자의 회복에 주요한 역할을 했음을 입증하는 연구가 최근 발표되었다. 지난달 15일 미국 공중보건학회지(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에 게재된 논문 '사회운동과 한국의 성폭력 생존 여성들의 정신건강, 2012~2019'는 2018년 한국 사회에 확산된 미투운동이 성폭력 피해자의 우울감을 큰 폭으로 낮췄다고 밝혔다. 미투운동이 피해자를 탓하는 사회 문화를 바꾸고, 기업과 각종 공공기관이 성폭력을 줄이기 위한 제도를 도입하게 하는 등 사회적 연대와 지지로 작용해 성폭력 피해자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 결과였다. 미투운동은 여성에 대한 폭력이 우리 사회의 성차별적인 문화, 성불평등 구조와 뿌리 깊게 연결되어 있으며, 단순히 법과 제도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님을 다시금 확인시켜 준 것이다. 그렇기에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성범죄를 근절하겠다면서도 성평등 정책 주무 부처인 여가부를 폐지하겠다는 여가부 장관의 대답은 잘못됐다.

 

대통령이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며 여가부 폐지를 이야기하고 있는 현재에도 여성들은 여전히 직장에서 학교에서 일상에서 차별과 폭력을 경험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5일 '직장 내 성폭력' 사건과 관련해 피가해자 분리 조치를 하지 않고, 피해자의 실명이 노출되어 2차 피해가 있음에도 이를 방치한 포스코에 과태료를 부과하고 관련자들을 형사입건 등 사법처리 하겠다고 발표했다. 제빵 기사 약 80%가 여성 노동자라는 파리바게뜨 노조는 '점심시간 1시간·정기 휴무일·모성권·연차휴가' 등 노동자의 당연한 권리를 요구하며 오늘도 투쟁 중이다. 군대 내 성폭력 사건으로 피해자가 사망한 공군부대에서는 1년 만에 또 다른 피해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대학에서도 피해자를 성폭행하고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이 발생했다.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우리 사회의 과제이다. “여가부 폐지를 위해 장관에 임명됐나”라는 질문에 “네”라고 한 여가부 장관의 대답은 스스로가 여성폭력 문제에 얼마나 무지한가를 보여주는 직접 증거다. 여성폭력 근절을 위해서는 성평등한 문화를 만들고, 사회적 인식을 바꿔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금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여가부 폐지가 아닌 성평등 정책 전담 독립부처로서의 역할 강화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는 것이다.

 

* 관련기사: https://vo.la/z94iZk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208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6 [화요논평] '여성' 삭제한 '여성가족부' 업무 추진계획-행정부의 '여성' 지우기, 당장 중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1.30 31
165 (화요논평) 성폭력에 ‘성적 수치심’이 아니라 불쾌감을 느껴 무죄? admin 2023.05.30 31
164 (화요논평) 스토킹 피해자 신변보호조치 중 발생하는 여성살해 사건이 벌써 몇 번째인가. 국가는 근본적인 신변보호조치를 마련하라. - 신당역 여성살해 사건 1주기 및 ‘인천 스토킹 여성살해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09.21 31
163 (화요논평) 가정폭력 가해자를 양성하는 사회 - 가정폭력 옹호하는 변호사, 가정폭력 저지르는 구청장 진해여성의전화 2021.08.12 32
162 (화요논평) 지방선거가 남았다 -유권자를 대표하는 정치인의 모습은 유권자를 닮아있어야 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5.31 32
161 (화요논평) '낙태죄' 폐지 이후 3년, 우리의 싸움은 멈추지 않는다-국가는 여성들의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법제도 마련으로 응답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7.12 32
160 (화요논평) 법무부 ‘새 정부 업무계획’에서 실종된 스토킹 근절 대책 진해여성의전화 2022.08.08 32
» (화요논평)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강화한다면서 여가부 폐지?- “네”라는 대답은 잘못됐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8.30 32
158 김건희씨 미투 관련 발언에 대한 안희정 성폭력피해자의 사과요구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2.01.19 33
157 (화요논평) 여성가족부 폐지? 누구의 삶도 지지율의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1.20 33
156 (화요논평) 가정폭력 가해자인 지방자치단체장 용납할 수 없다! - 각 당과 정치권은 가정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5.19 33
155 2022년 6.1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특례시 시장 후보 대상 정책 질의 답변 관련 기자회견문 진해여성의전화 2022.06.02 33
154 (성명서) 홍남표 창원시장은 유충 수돗물 음용을 자제시키고 비상급수 선포하여 진해구민을 안심시켜 주어야 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7.19 33
153 (화요논평) 국가는 더 이상 여성폭력 피해자에게 책임을 떠넘기지 말라 - 스토킹처벌법 개정계획 발표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10.05 33
152 (화요논평) "말” 뿐인 대책 말고 진정한 피해자 권리 보장 실현하라 - 스토킹처벌법 시행 1년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10.28 34
151 (화요논평) 민간 경호 업체가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한다고? - 국가는 민간에게 책임을 넘기지 말고 피해자 보호를 위해 책무를 다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34
150 (화요논평) 가정폭력 저지른 파주시장, 강동구청장은 지방자치단체장 자격 없다. 제대로 수사,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1.09.08 35
149 (화요논평) 계속되는 여성살해, 언제까지 지켜볼 것인가?- 대선 후보들은 친밀한 관계 내 여성살해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2.04 35
148 (화요논평) 경찰에 의한 가정폭력 2차 피해, 더는 안 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1.05.07 35
147 (화요논평) 과거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각 정당은 뼈아픈 자기반성에서부터 시작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5.19 35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