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001.png

 

 

여성가족부 폐지 추진 당장 중단하라

- 성평등 관점 없는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은 불가능하다.

 

 

지난 2일 언론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며 여성가족부 폐지 등 정부 조직개편을 6월 지방선거 이후로 미룬다고 잇따라 보도하였다. 여성단체 및 정당, 각계각층에서 이어지는 여성가족부 폐지 반대 여론 때문에 조직개편이 쉽지 않을 것이라 예상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뒤따랐다. 그러나 윤 당선인의 판단은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이후 그 힘으로 여성가족부 폐지하겠다는 정치적 꼼수에 지나지 않는다. 시간을 끌며 지방선거로 이슈를 이동시키고, ‘여성가족부 폐지’는 반대하는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지게 하여 손쉽게 여성가족부를 폐지하려는 전략에 불과한 것이다.

 

 

이런 윤 당선인의 꼼수에 공당으로써 대응해야 할 더불어민주당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전국여성위원회가 3월 15일 발표한 ‘여성가족부 존치’ 성명, 여성가족부 권한과 역할 강화방안이 요구된 4월 5일 원내 대책 회의 등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도 ‘여성가족부 폐지’에 적극 대응하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포착되고 있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여론의 눈치만 보며 상황을 수수방관하고 있다. 하루가 멀다 하고 ‘여성가족부 폐지’ 입장을 재확인하는 대통령인수위원회는 모르쇠로 일관하면서 지방선거에서 감히 여성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자 하는가. 형식적인 선거 준비에서 벗어나 여성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듣고 여성가족부 폐지 반대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정치인들의 잇속에 따라 여성가족부 존폐가 이야기되는 현재, 여성폭력 피해자들은 피해자에 대한 지원이 끊길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대통령 선거 이후 ‘(여가부가 없어지면) 지원이 다 없어지는 거냐’, ‘계속 상담소에 와도 되냐’는 피해자의 전화가 상담소로 걸려 오고 있으며, 여성가족부 폐지 반대를 호소하는 국민청원도 등장했다. 여성폭력 피해자에게 ‘여성가족부 폐지’는 생존권과 직결되는 문제다. 편견과 낙인이 가득한 사회에서 자신의 피해를 공적체계를 통해 인정받고, 법적·심리적 지원으로 일상을 회복해나가는 여성폭력 피해자들이 정치인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가? 정치인들은 정치적 이익을 챙기는 것에 골몰할 것이 아니라 여성폭력 피해자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제대로 일할 부처를 만들고 정책으로 만드는 것이 그들의 역할이다. 지금 정치인들은 그 일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

 

 

우리는 더 이상 여성가족부의 존폐를 정치인의 손에 맡길 수 없다. 여성폭력 피해자의 안전은 안중에도 없는 대통령인수위원회를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다. 이에 535개 단체는 ‘여성폭력피해자지원현장단체연대’를 결성하였으며, 오는 4월 7일 <성평등 관점의 여성폭력방지전담부처 반드시 필요하다>는 슬로건 아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에 모이기로 하였다. 우리가 전달하고자 하는 입장은 명확하다.

하나. 여성폭력은 성차별적 사회구조에 의해 발생한다.

하나. 여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성평등 관점의 여성폭력방지 전담 부처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나. 성평등 관점의 여성폭력방지 전담 부처 없이 여성가족부의 축소·폐지는 있을 수 없다.

여성폭력 피해자를 현장에서 지원하는 우리 단체들은 여성폭력 피해자들과 함께 끝까지 싸울 것이다.

 

 

 

강릉여성의전화, 강화여성의전화, 광명여성의전화, 광주여성의전화, 군산여성의전화, 김포여성의전화, 김해여성의전화, 대구여성의전화, 목포여성의전화, 부산여성의전화, 부천여성의전화, 서울강서양천여성의전화, 성남여성의전화, 수원여성의전화, 시흥여성의전화, 안양여성의전화, 영광여성의전화, 울산여성의전화, 익산여성의전화, 전주여성의전화, 진해여성의전화, 창원여성의전화, 천안여성의전화, 청주여성의전화, 한국여성의전화

 

 

 

 

*관련기사: https://www.chosun.com/politics/2022/04/02/BM3SLBDNIRD5BFYFX5C2YQ7C54/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2040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6 19대 국회는 조속한 선거구 획정과 여성대표성제고를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의 소임을 다하라 세영 2016.02.23 558
165 새누리, 더민주, 정의당의 당헌․당규도 무시한 막무가내 공천을 규탄한다. 세영 2016.03.21 531
164 제20대 국회 여성의원 17%에 그쳐,다만 지역구 여성의원 수 37% 증가에서 성평등 국회의 희망을 본다. 세영 2016.04.18 454
163 “정부의 반인권적 여성대상범죄대책 전면재검토와차별금지법 제정을 요구하는 시민사회단체/정당 기자회견” 세영 2016.06.16 398
162 문제는 ‘화장실’과 ‘정신질환자’에 있지 않다 세영 2016.05.25 363
161 가정폭력범죄 피해여성의 신변보호와 자립지원을 강화한 가정폭력방지법 개정법률안 발의를 환영한다 세영 2016.08.29 347
160 [논평] 여성·성평등 정책을 후퇴시킬 우려가 높은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와 안전행정위원회 통합'을 반대한다. 세영 2016.05.16 324
159 가정폭력으로 피해여성을 혼수상태에 이르게 한 가해자가 유일한 보호자? 세영 2016.07.25 321
158 [도대체 어떤 성폭력피해자가 ‘아니면 말고’식의 고소를 한답니까?] pms3433 2016.08.12 310
157 화요논평20190910(성폭력 유죄 확정 판경 이후 남은 과제) pms3433 2019.10.16 283
156 산부인과 의사 92%가 임신중절 수술 중단 찬성? 세영 2016.12.09 269
155 낙태! 피임! 자유를 허하라! 우리는 인형이 아니다! 세영 2016.10.12 257
154 논평입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18.03.30 198
153 화요논평입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18.06.19 153
152 세월호 참사 1000일. 잊지 말아야 할 기억 그리고 다시, 시작 세영 2017.01.12 114
151 화요논평입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18.05.15 107
150 화요논평20191203(성폭력이 아동의 ‘발달과정’이 될 수 있는가) pms3433 2019.12.07 103
149 <디지털 기반 성착취, 성폭력 범죄의 강력한 대응체계 수립 촉구 성명서> pms3433 2020.03.30 97
148 화요논평입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18.05.17 88
147 화요논평입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18.04.04 82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