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목.png

 

 

여성폭력은 '구조적 성차별'로 인해 발생한다.

- 여성인권의 관점으로 여성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성평등 정책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이하 ‘인수위’)가 4월 4일까지 새 정부의 정부조직개편안 초안을 만들기로 하였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의 ‘복지’ 정책과 여성가족부의 ‘가족’ 정책을 붙여 ‘인구가족부’ 혹은 ‘가족복지부’로 개편하는 방안, 혹은 변화한 가족 형태와 인구 문제 등을 통합해 다루는 부처로서 ‘미래가족부’라는 명칭으로 ‘여성가족부’를 대체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 외 여성가족부의 업무는 고용노동부, 교육부, 법무부 등 ‘유관 부서’로 이관한다는 구상이다.

 

이처럼 인수위가 여성가족부의 필요성을 폄훼하고 역할을 축소하기 위해 골몰하는 동안, 여성폭력 피해자들은 ‘여성가족부 폐지’와 함께 여성가족부로부터 받고 있던 최소한의 지원과 보호마저 사라질까 두려워하고 있다. 자신을 데이트폭력 사건의 ‘성범죄 피해자’라고 소개한 한 여성은 두려움과 불안을 호소하며 여성가족부 폐지를 반대하는 청원을 게재하였으며, 이 청원은 3월 29일 기준 16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직업교육, 교육비 등 지원을 받아 미래를 준비하던 학교 밖 청소년과 한부모 가정의 여성들은 지원 자체가 사라질까 걱정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여성가족부가 존재하는 지금도 여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지원은 불안정하다.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사업은 국가가 지속해서 추진해야 하지만, 일반예산으로 편성조차 되지 않고 기금사업으로 운영되어왔다. 기금의 출처 또한 여성가족부의 양성평등기금, 법무부의 범죄피해자보호기금 등 나뉘어 있기에 여성가족부가 성평등 및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을 관장하는 주무 부처로서 제대로 역할 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러니 여성가족부의 사업을 ‘유관 부서’로 분산하니 지원정책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말로 국민을 기만하지 말라. 여성폭력 피해자의 자산을 조사해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사회복지적 관점이나, ‘진짜 피해자’ 가리기에 급급한 남성 중심적 관점으로는 문제 해결은커녕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여성폭력은 '구조적 성차별'로 인해 발생한다. 즉, 우리에겐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을 성별·성역할 고정관념이 만연한 가부장적 사회 구조의 결과물로 명확히 인식할 줄 알고, 여성인권의 관점에서 여성폭력 문제를 해결·대응하는 성평등 정책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성평등 담당부서가 독자적 피해자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그에 걸맞은 위상과 명칭, 예산, 조직구조를 담보해야 한다.

 

‘인구가족부’, ‘미래가족부’ 등으로 정부조직을 개편하겠다는 인수위의 발상은 여성을 ‘가족’과 ‘출산’에 묶어두겠다는 전형적인 성차별이며, 여성을 대상화·도구화하는 정책에 불과하다. 여성가족부의 사업을 갈가리 찢어 기어코 여성가족부를 폐지하겠다는 당선인의 ‘의지’는 자신이 정부 부처의 존폐를 쥐락펴락할 수 있다는 졸렬한 ‘과시’일 뿐이다. 윤 당선인과 인수위가 할 일은 여성가족부가 성평등 및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정책의 주무 부처로 기능하는데 필요한 형식과 내용을 논의하고 추진하는 것이다. 여성들이 겪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고 사회 곳곳의 성차별과 그로 인한 여성폭력을 빠짐없이 발견하고 대응하라.

 

 

강릉여성의전화, 강화여성의전화, 광명여성의전화, 광주여성의전화, 군산여성의전화, 김포여성의전화,
김해여성의전화, 대구여성의전화, 목포여성의전화, 부산여성의전화, 부천여성의전화, 서울강서양천여성의전화,
성남여성의전화, 수원여성의전화, 시흥여성의전화, 안양여성의전화, 영광여성의전화, 울산여성의전화,
익산여성의전화, 전주여성의전화, 진해여성의전화, 창원여성의전화, 천안여성의전화, 청주여성의전화, 한국여성의전화

 

 

*관련 기사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3183926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203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 (화요논평) 폐지할 것은 여성가족부가 아닌 성차별을 선언하는 공약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2.23 41
65 (화요논평) 2024년, 우리는 여성 인권의 현실을 변화시킬 것이다 - ‘여성’ 빠진 대통령 신년사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4.01.31 40
64 (화요논평) 전화 안 받았으니, 스토킹 무죄? 판사 교육 의무화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11.11 40
63 “무죄가 선고됐다고 징계 사유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 공동체 내 성폭력, 공동체의 역할을 다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1.04.14 40
62 화요논평20190924(우리의 임신중지를 지지하라) pms3433 2019.10.16 40
61 화요논평입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18.01.31 40
60 <김학의, 윤중천 성폭력 사건> 사법정의 실현을 위한 기자회견 pms3433 2020.01.15 40
59 (화요논평) 10대 여성 3명 강간·추행하고도 집행유예? 사법부는 가해자의 반성과 합의를 여성폭력 사건의 감경요소로 보지 말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1.07 40
58 (화요논평) 성찰 없는 '벼락' 징계로는 아무것도 바로잡을 수 없다 - '설치는 암컷' 등 연이은 정치권의 성차별 발언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12.11 39
57 [강간죄 개정을 위한 릴레이 리포트 6탄] 이주여성 대상 성폭력, 그 수단은 폭행·협박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3.07.06 39
56 (화요논평) 집행유예 기간에 가정폭력이 발생해도 처벌은 징역 8개월? - 처벌을 원하지 않는 법, 처벌하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 모두 문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1.10.20 39
55 성평등한 여성정치참여 보장을 위한 창원시의회 젠더관점 대책 요구 기자회견 진해여성의전화 2021.02.18 39
54 경남 여성가족재단 기능개편 관련 성평등 정책 제안 기자회견 file 진해여성의전화 2022.09.06 38
53 (화요논평) '아무도 모르는' 여성가족부 업무 추진 - 여성폭력 실태조사의 비밀스러운 발표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09.01 38
52 (화요논평) 불법촬영, 연인 관계라는 이유로 불기소라니!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 제대로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1.11.19 38
51 (화요논평) 경찰에 의한 가정폭력 2차 피해, 더는 안 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1.05.07 38
» (화요논평) 여성폭력은 '구조적 성차별'로 인해 발생한다 - 여성인권의 관점으로 여성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성평등 정책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admin 2022.03.31 38
49 (화요논평)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더 ‘강력한’ 성평등 정책 추진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3.25 38
48 (화요논평) 계속되는 여성살해, 언제까지 지켜볼 것인가?- 대선 후보들은 친밀한 관계 내 여성살해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2.04 38
47 (화요논평) 성범죄 가해자에게 악용되는 국민참여재판, 이대로는 안 된다 - 작년 한 해 성범죄 국민참여재판, 무죄율 53%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05.09 37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