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001.jpg

 

 

 

 

 

 

성범죄, 성차별 논란투성이인 정당의 예비 후보자들

- 각 정당은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해 제대로 된 후보자 선출하라

 

오는 4월 10일에 치러질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정당들은 본격적인 공천 심사에 돌입했다. 그런데 각 정당에서 하나둘씩 내보이는 후보자들의 전력이 가관이다. 국민의힘 1호 영입 인재는 본인이 운영했던 인터넷 커뮤니티에 ‘예쁜 여자는 페미니즘을 하지 않는다’는 등 성차별적 내용의 게시글을 방치하였다. 뿐만 아니라 성범죄 가해자 및 명예훼손 가해자들을 옹호하고 피해자에 대해 2차 가해를 했다는 의혹이 보도되기도 하였다.

 

더불어민주당의 한 후보자는 2018년 성추행 논란에 휩싸였음에도 당내 후보자 적격 판정을 받았다. 또한 2003년 성추행을 저지른 인물, 타 예비 후보자와 비서를 성희롱한 인물이 각각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출마를 선언하였으나 당내에선 아무런 제지가 없었다. 논란이 일자 뒤늦게 민주당은 후보자 검증을 강화하겠다고 밝혔고, 해당 후보자들은 출마를 포기하였다. 한편, 성폭력으로 실형을 선고받은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의 측근들은 빠르게 예비 후보자로 등록된 반면, 안희정에 의한 성폭력 사건의 피해자를 지지했던 더불어민주당 소속 출마 예정자는 뚜렷한 이유 없이 예비후보 적격심사가 보류되고 있다. 각 정당은 무엇을 기준으로 후보자를 심사하고 검증하고 있는 것인가.

 

국민의힘은 성범죄, 아동 및 청소년 관련 범죄, 음주운전 등의 범죄를 저지른 자를 후보자에서 배제한다고 당규에 규정하고 있으며, 이번 공천에선 ‘성폭력 2차 가해·직장 내 괴롭힘·학교폭력·마약범죄자’ 관련자들 및 ‘막말’ 등 형사처벌을 받지 않았더라도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자들까지 후보자에서 배제하겠다고 하였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당규에 따라 강력범죄, 성폭력, 음주운전, 가정폭력을 저지른 자를 후보자 심사에서 부적격 처리하되, 젠더감수성 반영을 강화하여 성비위 전력이 있는 자, 막말 및 부적절한 언행을 한 자도 엄격히 검증하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성희롱 전력의 경우 감점 요소로만 규정하며 후보자 심사를 통과할 여지를 남겨두었다.

 

정당은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하는 만큼,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해 성인지적 관점을 갖춘 적절한 후보자를 선출할 책임이 있다. 각 정당은 여성폭력 문제를 가볍게 여기는 스스로의 태도를 반성하고, 여성폭력 범죄 전과를 배제하는 것과 같은 기초적 기준 외에도 법률적으로 확정적 결론이 내려지지 않은 일이라도, 여성에 대한 차별적이고 폭력적인 발언 또는 행위를 하거나 그러한 인식을 가진 후보자를 제재하는 기준을 적극 적용해야 한다. 당연하게도 성폭력 피해자에게 조력했다는 이유로 후보 적격심사에서 불이익을 받아선 안 될 것이다. 각 정당은 이제부터라도 성평등 정책을 실현할 올바른 후보자를 선출하라. 유권자들은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해 제대로 일할 정당과 정치인을 원하고 있다. 유권자들이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 관련 기사:

[단독] 與 박상수, 성범죄 피해자 2차 가해 의혹

https://www.goodmorningcc.com/news/articleView.html?idxno=303162

민주당 이어 국민의힘도 '공관위' 시동…여야 공천 경쟁 본격화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084535

국민의힘, 성폭력 2차가해·직장내 괴롭힘·학폭·마약범죄자 공천 배제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19557

이재명의 병상 공천… ‘친명계는 성희롱도 괜찮아?’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401110132

“저도 뛰고 싶어요”…총선 출마 앞두고 엇갈린 안희정 측근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65073 

박용진 "정봉주·강위원·현근택, 성비위 트로이카가 공천 이끌면 '망천'"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852886?sid=100 

“이쁜 여자는 페미 안 해” ‘한동훈 1호 영입 인재’ 운영 커뮤니티에 혐오 발언 방치

https://v.daum.net/v/20240110060407501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4.01.1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 (화요논평) 민간 경호 업체가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한다고? - 국가는 민간에게 책임을 넘기지 말고 피해자 보호를 위해 책무를 다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15
46 (화요논평) 계속되는 여성살해, 언제까지 지켜볼 것인가?- 대선 후보들은 친밀한 관계 내 여성살해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2.04 14
45 (화요논평) 폐지할 것은 여성가족부가 아닌 성차별을 선언하는 공약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2.23 14
44 (화요논평) 여성폭력은 '구조적 성차별'로 인해 발생한다 - 여성인권의 관점으로 여성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성평등 정책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admin 2022.03.31 14
43 (화요논평) 성폭력이 ‘문화적 차이’? 조직위원회는 잼버리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 제대로 규명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14
42 (화요논평) ‘엑시트’ 해야 할 것은 여성가족부가 아닌, 성차별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부적절한 인사 즉각 중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9.21 14
41 (화요논평) 대법원의 성인지적 관점에 대한 몰이해를 규탄한다! - 사법부는 대법관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성평등한 판결을 위해 노력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01.31 14
40 (화요논평) 용화여고 스쿨미투 대법원 판결을 환영한다 – 스쿨미투, 끝까지 싸운다! 이제 시작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1.10.08 13
39 (화요논평) 포스코의 성폭력 사건 처리 원칙은 ‘관용 원칙’인가 - 고용노동부는 엄중히 대응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7.01 13
38 (화요논평)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강화한다면서 여가부 폐지?- “네”라는 대답은 잘못됐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8.30 13
37 (화요논평) '아무도 모르는' 여성가족부 업무 추진 - 여성폭력 실태조사의 비밀스러운 발표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09.01 13
36 (화요논평) 전화 안 받았으니, 스토킹 무죄? 판사 교육 의무화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11.11 13
35 (화요논평) 2022 분노의 게이지 -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에 의한 여성살해 1.17일에 1명 진해여성의전화 2023.03.16 13
34 (화요논평) 2024년, 우리는 여성 인권의 현실을 변화시킬 것이다 - ‘여성’ 빠진 대통령 신년사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4.01.31 13
33 반쪽짜리 스토킹처벌법, 제대로 된 보호법 제정으로 완성하라! - 스토킹처벌법 제정 1년에 부쳐 진해성폭력상담소 2022.05.04 12
32 (화요논평) ‘엄마 행복 프로젝트’가 여성정책? - 지방자치단체, 제대로 된 성평등 정책이 필요하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7.01 12
31 (화요논평) "국가가 죽였다"-신당역 여성살해 사건에 부쳐 admin 2022.09.21 12
30 (화요논평) 기존 통계의 나열로 그친 ‘첫’ 여성폭력통계 잘못된 정책생산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진해여성의전화 2023.01.11 12
29 (화요논평) 벌써 두 명의 여성이 죽었다 - 가정폭력처벌법 개정, 언제까지 미룰 것인가 진해여성의전화 2023.01.11 12
28 [강간죄 개정을 위한 릴레이 리포트 6탄] 이주여성 대상 성폭력, 그 수단은 폭행·협박이 아니다. 진해여성의전화 2023.07.06 12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