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mg.png

지난 1월 8일 여성가족부가 2023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다양한 가족 지원, 아동·청소년 보호, 폭력 범죄피해자 보호 확대 등 6대 핵심 과제 중 ‘여성’이라는 단어가 언급된 것은 단 한 번에 불과했다. 여성 정책의 총괄 부서인 여성가족부에서 성평등, 여성 폭력 관련 의제를 외면하기 위해 ‘여성’이란 단어를 의도적으로 삭제한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들 정도다.

 

이는 근거 없는 억측이 아니다. 현 정부가 출범 이전부터 ‘여성가족부 폐지’라는 구호를 내세우고 추진해온 것은 이미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정부 출범 시 발표한 120대 국정과제에서 ‘여성’은 온데간데없었고, 지난해 정부 조직 개편안에서도 여성가족부를 폐지하고 대부분 기능을 보건복지부 산하 인구가족양성평등본부로, 여성 고용 기능은 고용노동부로 이관하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성평등·여성 정책은 없애고 사실상 ‘인구 감소를 해결할 도구로써 존재하는 여성’을 위한 가족 정책으로 한정하겠다는 명확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다. 이런 시점에서 여성가족부의 이번 발표는 부처 폐지에 대한 거센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여성’을 어떻게든 지우겠다는 정부의 시대착오적 독선이 전혀 재고되지 않음을 증명한다.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 산하 25개 지자체 중 여성 정책을 담당하는 행정부서의 명칭에서 ‘여성’이 삭제되고 있다. 어르신여성과는 어르신가족과로 변경한 종로구, 여성보육과를 가족정책과로 수정한 중구, 여성가족과를 가족정책과로 변경한 도봉구·서대문구·강남구·금천구, 여성가족과를 가족행복지원과로 변경한 마포구까지. 여성을 둘러싼 성차별 문제는 ‘인구’와 ‘가족’으로 가려지고 있다.

 

중앙정부, 지방정부 할 것 없이 여성 정책업무를 관장하는 부처가 존폐를 위협받는 상황에서 공정하고 성평등한 노동환경 조성, 돌봄 안전망 구축, 여성 폭력 피해지원 및 성인지적 건강권 보장, 성평등 문화확산 등 제3차 양성평등 정책 기본계획은 어떻게 추진하겠다는 말인가. 26년 연속 최악의 성별 임금 격차를 기록하는 나라, 잇따른 여성 살해 사건 보도로 새해를 맞이하는 나라, 성 착취물 산업구조의 핵심 인물을 ‘방조범’으로밖에 처벌하지 못하는 나라는 국가 정책에서 여성을 지우려는 정부의 적극적인 ‘계획’이 만들어낸 결과다. 정부는 국가 정책에서 여성을 삭제하려는 모든 시도를 중단하고 성평등 정책을 강화하는 국가의 책임을 다하라.

 

 

* 관련기사: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11314050005131

https://m.korea.kr/news/policyBriefingView.do?newsId=156547005#policyBriefing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3012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 (화요논평) 집행유예 기간에 가정폭력이 발생해도 처벌은 징역 8개월? - 처벌을 원하지 않는 법, 처벌하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 모두 문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1.10.20 37
46 (화요논평) 성범죄 가해자에게 악용되는 국민참여재판, 이대로는 안 된다 - 작년 한 해 성범죄 국민참여재판, 무죄율 53%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05.09 37
45 (화요논평)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더 ‘강력한’ 성평등 정책 추진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3.25 36
44 “무죄가 선고됐다고 징계 사유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 공동체 내 성폭력, 공동체의 역할을 다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1.04.14 36
43 (화요논평) 불법촬영, 연인 관계라는 이유로 불기소라니!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 제대로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1.11.19 36
42 (화요논평) ‘엄마 행복 프로젝트’가 여성정책? - 지방자치단체, 제대로 된 성평등 정책이 필요하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7.01 36
41 (화요논평) 벌써 두 명의 여성이 죽었다 - 가정폭력처벌법 개정, 언제까지 미룰 것인가 진해여성의전화 2023.01.11 36
40 (화요논평) 성희롱과 임금차별이 ‘청년의 노동권 보호’로 해결 가능하다고? - 고용노동부의 중소금융기관 기획감독 결과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03.16 36
39 (화요논평) 가정폭력 저지른 파주시장, 강동구청장은 지방자치단체장 자격 없다. 제대로 수사,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1.09.08 35
38 (화요논평) 계속되는 여성살해, 언제까지 지켜볼 것인가?- 대선 후보들은 친밀한 관계 내 여성살해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2.04 35
37 (화요논평) 경찰에 의한 가정폭력 2차 피해, 더는 안 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1.05.07 35
36 (화요논평) 과거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각 정당은 뼈아픈 자기반성에서부터 시작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5.19 35
35 (화요논평) 직장 내 성폭력에 대한 처분, 겨우 과태료 500만 원? - 직장 내 성폭력 근절을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8.18 35
34 (화요논평) "국가가 죽였다"-신당역 여성살해 사건에 부쳐 admin 2022.09.21 35
33 ( 화요논평) 스토킹 가해자는 처벌하지 않고 피해자 보호시설만 만들면 되나? 진해여성의전화 2022.12.29 35
32 (화요논평) 성폭력이 ‘문화적 차이’? 조직위원회는 잼버리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 제대로 규명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35
31 (화요논평) 스토킹 가해자 처벌 않고, 피해자 지원 예산 축소하여 스토킹 근절하겠다? 국가는 구색맞추기식 스토킹 근절 정책 방향을 전면 개정하라!- 스토킹처벌법 시행 2년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11.10 35
30 (화요논평) "말” 뿐인 대책 말고 진정한 피해자 권리 보장 실현하라 - 스토킹처벌법 시행 1년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10.28 34
29 (화요논평) 민간 경호 업체가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한다고? - 국가는 민간에게 책임을 넘기지 말고 피해자 보호를 위해 책무를 다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34
28 (화요논평) 여성가족부 폐지? 누구의 삶도 지지율의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1.20 33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