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mg.png

2023년을 맞은 지 열흘도 되지 않아 두 명의 여성이 남성에 의해 살해당했다. 이는 언론에 보도된 건수만 집계한 것으로, ‘여성폭력’을 ‘폭력’이라 칭하며 ‘폭력 피해자 보호·지원을 강화하겠다’는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의 신년사에 삭제된 ‘여성’은 이렇게 국가에 보호받지 못한 채 죽임을 당했다.

 

두 건의 여성살해사건은 피해자 신고 이후 마땅히 작동했어야 할 국가제도가 전혀 작동하지 않았기에 발생하였다. 1월 2일에 발생한 여성살해사건은 전 남편이 가해자로, 이미 지난해 8월 폭력 행사 혐의로 벌금형을 선고받은 바 있다. 이후 피해자는 지난 12월 20일 경찰에 신변보호를 요청하였으나 경찰은 피해자가 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다른 신고에 우선해 출동하는 ‘신변보호 112 시스템 등록’이라는 대단히 소극적이고 표면적인 방식의 조치만을 취했다.

 

1월 4일에는 남편에 의해 또 다른 여성이 살해당했다. 해당 사건의 피해자 또한 지난달에 가정폭력 신고를 한 바 있으나, 이때에도 피해자가 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적극적 분리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가정폭력처벌법)에 따라 가정폭력범죄 신고를 받은 경찰은 즉시 현장에 나가서 폭력행위를 제지하고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 책임을 다하지 않은 채 응당 해야 할 피해자 보호조차도 피해자에게 판단하도록 떠넘긴 것이다.

 

이는 가정폭력을 심각한 범죄로 인식하지 않는 사회 전반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현행 가정폭력처벌법은 그 목적을 피해자의 인권 보장이 아닌 '가정의 평화와 안정'으로 우선하여 두고 있다. 이러한 기조에 따라, 가정폭력사건에서는 피해자 보호 및 가해자 처벌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 부담은 피해자에게 온전히 떠넘겨진다. 가정폭력 피해자는 보복에 대한 두려움, 경제적 이유, 자녀 양육 문제, 가정을 해체시킨 장본인이라는 사회적 비난 등 복합적인 이유로 신고하더라도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밝히거나, 고소하더라도 중도에 취하하고 억지로 합의하는 경우도 많다. 가정폭력 기소율이 10.1%(검찰청, 2020)에 불과한 현실에서 피해자는 공권력이 개입해도 소용없다는 ‘경험’을 통해 폭력 해결의 책임을 어쩔 수 없이 자임하게 되기도 한다. 국가는 이러한 특성을 모두 고려하지 않은 채 기계적인 ‘피해자 의사 존중’을 통해 국가의 책무인 가해자 처벌을 피해자에게 전가하고, 피해자에 대한 보호조차도 방기하고 있다.

 

그렇기에 이제는 정말로 가정폭력처벌법의 전면 개정이 필요하다. 먼저 가정폭력처벌법 목적조항 및 전반의 패러다임을 ‘가정의 평화와 안정’이 아닌 ‘피해자의 안전과 인권 보장’을 중심으로 개편하라. 가정폭력범죄의 처벌을 상담 위탁, 사회봉사·수강명령 등에 그치는 보호처분이 아닌 형사처벌을 원칙으로 규율하여 명확한 가해자 처벌이 이루어지도록 하라. 가정폭력처벌법 내 ‘피해자 의사 존중’과 관련한 내용을 삭제하고, 피해자에게 책임을 유기하는 것이 아닌 국가 스스로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 및 가해자 처벌에 책임을 다하라.

 

* 관련기사: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35477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103500096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3011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 (화요논평) 2022 분노의 게이지 -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에 의한 여성살해 1.17일에 1명 진해여성의전화 2023.03.16 23
166 (화요논평) 용화여고 스쿨미투 대법원 판결을 환영한다 – 스쿨미투, 끝까지 싸운다! 이제 시작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1.10.08 26
165 (화요논평) 신당역 '여성 살해' 사건 200일, 스토킹 처벌법 제정 2년 달라진 것은 없다 진해여성의전화 2023.05.09 27
164 (화요논평) 세계여성폭력추방주간, 한국은 여성폭력주간? 진해여성의전화 2023.12.11 27
163 (화요논평) 대법원의 성인지적 관점에 대한 몰이해를 규탄한다! - 사법부는 대법관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성평등한 판결을 위해 노력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01.31 27
162 (화요논평) 차별과 폭력 양산하는 정상가족주의 해체하라 – 생활동반자법 발의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05.18 28
161 [강간죄 개정을 위한 릴레이 리포트 2탄] 업무상 위력에 의한 성폭력: 동의도, 거부도 표하기 어려울 때 진해여성의전화 2023.07.06 28
160 (화요논평) 전 여자친구니까 성폭력을 '가정적으로 승낙'했을 것이다? - 수사기관은 친밀한 관계 내 발생하는 성폭력에 관한 통념을 부숴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28
159 (화요논평) “페미라서 맞아야 한다”? - 여성폭력을 방치하는 정부 정부는 여성폭력 관련 인식 개선 예산을 전액 삭감한 예산안을 전면 폐기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11.10 28
158 (화요논평) 성차별로 얼룩진 국회의원 후보자 공천 과정 - 정당은 이제라도 부적격한 후보에 대한 공천을 철회하고 성평등 국회를 만들기 위한 책무를 다하라 admin 2024.04.03 28
157 (화요논평) JTBC는 조직문화 쇄신하고, 반복되는 성폭력을 멈춰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5.09 29
156 (화요논평) 포스코의 성폭력 사건 처리 원칙은 ‘관용 원칙’인가 - 고용노동부는 엄중히 대응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7.01 30
155 (화요논평) '성평등','성소수자' 삭제될 수 없는 가치, 2022 교육과정 개정안 즉각 폐기하라. - 세계여성폭력추방주간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11.30 30
154 (화요논평) 여성폭력을 여성폭력이라 부르지 않겠다는 정부, 모두를 위한 것이라고? 그 누구를 위한 것도 아니다. 명백한 본질 호도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12.07 30
153 (화요논평) 여성살인을 용인하는 사회, 도대체 몇 명의 여성을 더 죽게 내버려 둘 것인가 진해여성의전화 2021.09.02 31
152 (화요논평) 감호시설만으로 부족하다. 가정폭력 피해자의 안전을 위해 가해자 처벌 강화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1.04 31
151 (화요논평) 기존 통계의 나열로 그친 ‘첫’ 여성폭력통계 잘못된 정책생산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진해여성의전화 2023.01.11 31
150 [화요논평] '여성' 삭제한 '여성가족부' 업무 추진계획-행정부의 '여성' 지우기, 당장 중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1.30 31
149 (화요논평) 성폭력에 ‘성적 수치심’이 아니라 불쾌감을 느껴 무죄? admin 2023.05.30 31
148 (화요논평) 스토킹 피해자 신변보호조치 중 발생하는 여성살해 사건이 벌써 몇 번째인가. 국가는 근본적인 신변보호조치를 마련하라. - 신당역 여성살해 사건 1주기 및 ‘인천 스토킹 여성살해 사건’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09.21 31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