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001.jpg

 

"말” 뿐인 대책 말고 진정한 피해자 권리 보장 실현하라

- 스토킹처벌법 시행 1년에 부쳐

 

‘신당역 여성 살해 사건’이 발생한 지 약 한 달이 흘렀다. 분노스럽게도, 어쩌면 예견된 비극이었다. 이미 현장에서 많은 여성단체가 외쳐온 개선 방향을, 이제야 처음 발견한 듯, 마치 새로운 대책인 마냥 쏟아내는 상황에서, 오는 10월 21일,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이하, 스토킹처벌법)이 시행 1년을 맞이한다. 오랜 기다림 끝에 마련된 스토킹처벌법으로 제대로 된 가해자 처벌을 기대하는 피해자들의 바람은 경찰 신고 건수로 확인되었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스토킹 관련 112 신고 건수는 2020년 4,515건에서 2021년 14,509건으로 3.2배나 증가했다. 그리고 올해 1~7월 집계된 신고 건수는 16,571건으로 이미 작년 수치를 넘어섰다.

 

그러나 신고 된 건수에 비해 제대로 된 가해자 처벌은 여전히 요원하다. 신고하면 가해자의 행위가 중단되고, 확실한 처벌이 이뤄질 것이라는 피해자들의 바람과 달리 대부분의 사건은 '현장 조치'로 종결되었으며, 구속률은 5%도 되지 않는다. 그리고 지난 9월, 우리는 지속적인 스토킹 피해로 몇 번이나 국가의 개입과 보호를 요청했으나 외면받고, 끝내 가해자에 의해 목숨을 잃은 ‘신당역 여성 살해 사건’을 목도했다.

 

뒤늦게 수사·사법기관, 관련 정부 부처, 국회는 앞다투어 반의사불벌조항 삭제, 스토킹 범죄자 전자발찌 부착, 가해자 위치추적 도입 등의 스토킹 범죄 대응 대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원인규명부터 대안마련까지를 포괄하는 스토킹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대책은 마련되지 않았다. 의지의 문제인가, 사실상 컨트롤타워의 부재 때문인가. 그마저 언급된 대책들은 ‘구조적 성차별’이라는 본 사건의 본질에 전혀 가닿지 못했다.

 

여전히 일부 현장에서는 현행범체포가 아닌 서면 경고로 사건이 종결되고, 법원은 가해자의 ‘반성’을 참작하여 집행유예 선고를 내린다. 그리고 정부는 "신당역 사건과 같은 집착형 잔혹범죄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라“고 하면서도, 스토킹의 원인이 되는 우리 사회의 성차별을 시정할 노력조차 하지 않고, 오히려 여성폭력 근절과 성평등 정책 총괄 부처인 여성가족부 폐지에 혈안이 되었다.

 

 

이러한 참담한 현실에 맞서 지난 10월 15일, 3.000여 명의 여성·시민이 서울 종각역으로 모였다. 이들은 스토킹을 비롯한 여성에 대한 폭력과 차별이 만연한 현실을 외면하고 여성가족부 폐지에 골몰하는 현 상황을 강력히 규탄했다. 국가, 국회 그리고 수사·사법기관은 언제까지 “말”만 하는 궁색한 행태를 되풀이할 작정인가, 하루빨리 ‘구조적 성차별’에 따른 여성폭력의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고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라. 제대로 된 스토킹처벌법 개정으로 스토킹 범죄를 원칙대로 처벌하고, 피해자의 안전 보장을 위한 스토킹피해자보호법을 조속히 제정하라!

 

 

*관련기사 :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62655.html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354764?sid=100

http://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5036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2101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 (화요논평) 여성가족부 폐지? 누구의 삶도 지지율의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1.20 32
146 (화요논평) 가정폭력 가해자를 양성하는 사회 - 가정폭력 옹호하는 변호사, 가정폭력 저지르는 구청장 진해여성의전화 2021.08.12 32
145 (화요논평) 지방선거가 남았다 -유권자를 대표하는 정치인의 모습은 유권자를 닮아있어야 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5.31 32
144 (화요논평) '낙태죄' 폐지 이후 3년, 우리의 싸움은 멈추지 않는다-국가는 여성들의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법제도 마련으로 응답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7.12 32
143 (화요논평) 법무부 ‘새 정부 업무계획’에서 실종된 스토킹 근절 대책 진해여성의전화 2022.08.08 32
142 (화요논평)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강화한다면서 여가부 폐지?- “네”라는 대답은 잘못됐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8.30 32
141 (화요논평) 가정폭력 가해자인 지방자치단체장 용납할 수 없다! - 각 당과 정치권은 가정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5.19 33
140 (화요논평) 국가는 더 이상 여성폭력 피해자에게 책임을 떠넘기지 말라 - 스토킹처벌법 개정계획 발표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10.05 33
139 (화요논평) 경찰에 의한 가정폭력 2차 피해, 더는 안 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1.05.07 34
138 (화요논평) 불법촬영, 연인 관계라는 이유로 불기소라니!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 제대로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1.11.19 34
» (화요논평) "말” 뿐인 대책 말고 진정한 피해자 권리 보장 실현하라 - 스토킹처벌법 시행 1년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10.28 34
136 (화요논평) 민간 경호 업체가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한다고? - 국가는 민간에게 책임을 넘기지 말고 피해자 보호를 위해 책무를 다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34
135 (화요논평) 가정폭력 저지른 파주시장, 강동구청장은 지방자치단체장 자격 없다. 제대로 수사,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1.09.08 35
134 (화요논평) 계속되는 여성살해, 언제까지 지켜볼 것인가?- 대선 후보들은 친밀한 관계 내 여성살해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2.04 35
133 (화요논평) 우리는 여전히 힘을 잃지 않습니다 - 제20대 대통령 선거 결과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03.21 35
132 (화요논평)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더 ‘강력한’ 성평등 정책 추진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3.25 35
131 “무죄가 선고됐다고 징계 사유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 공동체 내 성폭력, 공동체의 역할을 다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1.04.14 35
130 (화요논평) 과거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각 정당은 뼈아픈 자기반성에서부터 시작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5.19 35
129 (화요논평) 직장 내 성폭력에 대한 처분, 겨우 과태료 500만 원? - 직장 내 성폭력 근절을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8.18 35
128 (화요논평) "국가가 죽였다"-신당역 여성살해 사건에 부쳐 admin 2022.09.21 35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