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mg.jpg

지방선거가 남았다.

- 유권자를 대표하는 정치인의 모습은 유권자를 닮아있어야 한다.

 

 

지난 12일 국가인권위원회는 국회·지방의회를 비롯한 정치 영역에서 성별 불균형이 심각하다며 후보자 공천할당제를 의무화하라고 국회의장과 각 정당 대표에게 권고했다. 국회의원 선거 및 지방의회 의원 선거 후보자 추천 시 공천할당제를 지역구 의석에도 의무화해 특정 성별이 전체의 10분의 6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라는 것이다. 여성할당제가 법제화된 지 20년이 되었지만 6·1지방선거의 전체 여성 후보 비율은 27.5%에 불과하다. 광역·기초자치단체장의 경우 후보 공천 시 성별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규정 자체가 없으며 지방자치단체장 후보 중 여성은 공천비율 자체가 낮다. 역대 여성 광역자치단체장은 단 한 명도 없으며 여성 기초단체장도 지난 2018년 6·13 지방선거에서 3.54%(8명)만이 당선되었다.

 

공직선거법에 일정비율 이상 여성 후보를 추천해야 한다는 내용이 등장한 시점은 2002년이다. 20여 년의 세월이 흐를 동안 여성 국회의원 비율은 19%(21대 국회 기준)로 국제의회연맹 기준 세계 190개국 중 121위이자 전 세계 평균 여성의원 비율 25.6%(2021년 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스코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통계시스템을 통해 지난 제7회 지방선거 후보자통계와 당선인 통계를 살펴보면 당선인 비율은 후보자 비율을 따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번 6·1지방선거 후보자 비율도 지난 제7회 지방선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여성의 과소대표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며 이대로라면 기존과 같은 결과를 맞이할 것이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성평등 핵심은 국가의 주요 정책과 제도에 관한 입법 활동을 하는 의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대표성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밝혔던 인권위의 말처럼 후보자와 당선인은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비율을 닮아야 한다.

 

여성이라는 성별이 정치참여에 있어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된다. 정치가 유권자들의 삶의 모습을 반영하려면 유권자의 모습과 닮은 정치인이 있어야 한다. 중년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정치판의 모습은 변화되어야 한다. 할당제는 남성 중심 정치 구조를 뒤집기 위한 최소한의 조처이다. 여성의 정치참여 기회를 더 적극적으로 보장하여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아야 한다. 기울어진 운동장이 바로잡힌 후에 ‘공정’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선거가 남았다. 지방정치는 생활정치의 장이고 생활정치는 국민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정 성별·나이·지역·직업·계층의 사람들만 정치하는 모습을 이제는 끝내야 한다. 유권자들의 투표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다.

 

* 관련기사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895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2052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 (화요논평) 가정폭력 가해자인 지방자치단체장 용납할 수 없다! - 각 당과 정치권은 가정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5.19 16
46 (화요논평) '아무도 모르는' 여성가족부 업무 추진 - 여성폭력 실태조사의 비밀스러운 발표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09.01 16
45 [화요논평] '여성' 삭제한 '여성가족부' 업무 추진계획-행정부의 '여성' 지우기, 당장 중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1.30 16
44 (화요논평) 민간 경호 업체가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한다고? - 국가는 민간에게 책임을 넘기지 말고 피해자 보호를 위해 책무를 다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16
43 ( 화요논평) 성범죄, 성차별 논란투성이인 정당의 예비 후보자들 - 각 정당은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해 제대로 된 후보자 선출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01.31 16
42 (화요논평) 대법원의 성인지적 관점에 대한 몰이해를 규탄한다! - 사법부는 대법관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성평등한 판결을 위해 노력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4.01.31 16
41 (화요논평) 여성폭력은 '구조적 성차별'로 인해 발생한다 - 여성인권의 관점으로 여성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성평등 정책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admin 2022.03.31 15
40 (화요논평) 포스코의 성폭력 사건 처리 원칙은 ‘관용 원칙’인가 - 고용노동부는 엄중히 대응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7.01 15
39 (화요논평)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강화한다면서 여가부 폐지?- “네”라는 대답은 잘못됐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8.30 15
38 (화요논평) 전화 안 받았으니, 스토킹 무죄? 판사 교육 의무화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11.11 15
37 (화요논평) '성평등','성소수자' 삭제될 수 없는 가치, 2022 교육과정 개정안 즉각 폐기하라. - 세계여성폭력추방주간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11.30 15
36 (화요논평) 성폭력이 ‘문화적 차이’? 조직위원회는 잼버리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 제대로 규명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15
35 (화요논평) 성찰 없는 '벼락' 징계로는 아무것도 바로잡을 수 없다 - '설치는 암컷' 등 연이은 정치권의 성차별 발언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12.11 15
34 (화요논평) 2024년, 우리는 여성 인권의 현실을 변화시킬 것이다 - ‘여성’ 빠진 대통령 신년사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4.01.31 15
33 (화요논평) 여성가족부 폐지 추진 당장 중단하라 - 성평등 관점 없는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은 불가능하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4.07 14
32 (화요논평) 기존 통계의 나열로 그친 ‘첫’ 여성폭력통계 잘못된 정책생산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진해여성의전화 2023.01.11 14
31 (화요논평) 2022 분노의 게이지 -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에 의한 여성살해 1.17일에 1명 진해여성의전화 2023.03.16 14
30 (화요논평) 용화여고 스쿨미투 대법원 판결을 환영한다 – 스쿨미투, 끝까지 싸운다! 이제 시작이다! 진해여성의전화 2021.10.08 13
29 (화요논평) 법무부 ‘새 정부 업무계획’에서 실종된 스토킹 근절 대책 진해여성의전화 2022.08.08 13
28 (화요논평) 직장 내 성폭력에 대한 처분, 겨우 과태료 500만 원? - 직장 내 성폭력 근절을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8.18 13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