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여성의전화 활동가들이, 많은 여성들이 매 대통령 선거 즈음이면 꺼내 보는 글이 있습니다. 1992년, 조이 레너드의 ‘나는 레즈비언 대통령을 원한다’로 시작하는 글입니다. ‘열여섯 살에 낙태를 경험했던 대통령’을, ‘두 명 중 덜 악랄한 자가 아닌 다른 대통령 후보를 원한다’는 그녀는 왜 이런 일들이 불가능한 것인지 통렬히 질문했습니다.

 

30년 후인 2022년의 우리는 그조차도 아닌, 최소한의 대통령을 원했습니다. 우리의 존재를 정당하게 호출하는 사람, 내 삶에 맞닿은 차별과 혐오를 똑바로 바라보는 사람, 그로 인해 우리가 마주하는 폭력의 현실을 이해하는 사람,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말해줄 수 있는 사람 말입니다.

 

그러나 당선인은 대표적인 성차별 공약인 여가부 폐지에 대해 여전히 “부처의 역사적 소명을 다했다”, 안철수 인수위원장도 공약을 폐기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대선이 끝난 지금도 우리는 여전히 그런 대통령을 원합니다. 결과에 좌절하지 않고 서로를 독려하는 목소리들, 대선 결과 확정 이후 3.8 세계 여성의 날의 의미를 되새기며 한국여성의전화에 쏟아진 후원이 있었습니다. 스토리후원을 통해 ‘당선인이 여성에 대해서 알아가길, 혐오에 대해 체감하길, 그것을 정치적인 요소로 사용하지 않고 올바름에 사용하길, 그것이 민주주의의 기반’이라고 전해주신 여성 유권자의 이야기, 나를 대변하는 후보에 투표하지 못했던 아쉬움을 후원으로 보여준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여성들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당선인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성평등 정책을 당부한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행동의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여전히 그런 대통령을, 그런 정치를 위해 힘을 잃지 않을 겁니다. 한국여성의전화는 어떠한 현실에서도 언제나 그래왔듯 할 일을 해나가겠습니다.

 

* 관련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20314118100001?input=1195m

https://www.hani.co.kr/arti/773887.html

* 당신과 함께하는 기억의 화요일 ‘화요논평’ 2022031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 (화요논평) 가정폭력 가해자를 양성하는 사회 - 가정폭력 옹호하는 변호사, 가정폭력 저지르는 구청장 진해여성의전화 2021.08.12 33
146 (화요논평) '낙태죄' 폐지 이후 3년, 우리의 싸움은 멈추지 않는다-국가는 여성들의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법제도 마련으로 응답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7.12 33
145 (화요논평) '성평등','성소수자' 삭제될 수 없는 가치, 2022 교육과정 개정안 즉각 폐기하라. - 세계여성폭력추방주간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11.30 33
144 (화요논평) 법무부 ‘새 정부 업무계획’에서 실종된 스토킹 근절 대책 진해여성의전화 2022.08.08 34
143 (화요논평)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강화한다면서 여가부 폐지?- “네”라는 대답은 잘못됐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8.30 34
142 (화요논평) 가정폭력 가해자인 지방자치단체장 용납할 수 없다! - 각 당과 정치권은 가정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5.19 35
141 (화요논평) 직장 내 성폭력에 대한 처분, 겨우 과태료 500만 원? - 직장 내 성폭력 근절을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8.18 35
140 ( 화요논평) 스토킹 가해자는 처벌하지 않고 피해자 보호시설만 만들면 되나? 진해여성의전화 2022.12.29 35
139 (화요논평) 가정폭력 저지른 파주시장, 강동구청장은 지방자치단체장 자격 없다. 제대로 수사, 처벌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1.09.08 36
138 (화요논평) 과거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각 정당은 뼈아픈 자기반성에서부터 시작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2.05.19 36
137 (화요논평) ‘엄마 행복 프로젝트’가 여성정책? - 지방자치단체, 제대로 된 성평등 정책이 필요하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7.01 36
136 (화요논평) "국가가 죽였다"-신당역 여성살해 사건에 부쳐 admin 2022.09.21 36
135 (화요논평) 벌써 두 명의 여성이 죽었다 - 가정폭력처벌법 개정, 언제까지 미룰 것인가 진해여성의전화 2023.01.11 36
134 (화요논평) 성희롱과 임금차별이 ‘청년의 노동권 보호’로 해결 가능하다고? - 고용노동부의 중소금융기관 기획감독 결과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03.16 36
133 (화요논평) 민간 경호 업체가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한다고? - 국가는 민간에게 책임을 넘기지 말고 피해자 보호를 위해 책무를 다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36
132 (화요논평) 성폭력이 ‘문화적 차이’? 조직위원회는 잼버리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 제대로 규명하라! 진해여성의전화 2023.08.11 36
131 (화요논평) 스토킹 가해자 처벌 않고, 피해자 지원 예산 축소하여 스토킹 근절하겠다? 국가는 구색맞추기식 스토킹 근절 정책 방향을 전면 개정하라!- 스토킹처벌법 시행 2년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3.11.10 36
130 (화요논평) 여성가족부 폐지? 누구의 삶도 지지율의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 진해여성의전화 2022.01.20 37
129 (화요논평) 국가는 더 이상 여성폭력 피해자에게 책임을 떠넘기지 말라 - 스토킹처벌법 개정계획 발표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10.05 37
128 (화요논평) "말” 뿐인 대책 말고 진정한 피해자 권리 보장 실현하라 - 스토킹처벌법 시행 1년에 부쳐 진해여성의전화 2022.10.28 37
SCROLL TOP